정부, ‘최대 순간풍속’ 활용해 산불 확산 예측한다

Է:2025-04-16 17:17
ϱ
ũ
지난달 27일 경남 산청군 시천면 야산에서 산불이 확산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부가 앞으로 산불 발생 지역의 ‘최대 순간풍속’을 활용해 산불 확산을 예측하기로 했다. 또 5시간 이내에 화선(불길)이 도달하는 범위에 거주하는 주민들에게 즉시 대피를 지시하기로 했다. 전기·통신망이 끊길 경우 ‘민방공 경보’로 주민들에게 상황을 전파하기로 했다.

행정안전부와 산림청, 기상청은 16일 이 같은 내용을 포함한 ‘초고속 산불 주민 대피 체계 개선안’을 발표했다. 개선안은 지난달 31명이 사망한 경남·경북 산불 대응 과정을 분석해 마련됐으며, 이달 말부터 본격적으로 시행된다. 행안부 관계자는 “경남·경북 산불 당시 산불이 최대 순간풍속 27.6m/s의 바람을 타고 시간당 8.2㎞의 속도로 확산됐다”며 “강한 바람 탓에 산불 확산 경로와 속도를 정확히 예상하지 못했고, 불길이 도달한 뒤에야 주민 대피가 이뤄지는 문제가 발생해 대피 체계를 보완했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먼저 산불이 어디로, 언제쯤 퍼질지 예측하는 ‘산불 확산 예측도’를 최대 순간풍속을 적용하는 방식으로 개선한다. 예측도는 기존엔 평균 풍속을 바탕으로 산불 확산 범위를 예상하도록 운영돼 왔다. 각 지자체는 예측도에 따라 화선이 5시간 이내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되는 지역에 거주하는 ‘위험구역’ 주민에게 즉시 대피를 지시할 계획이다. 또 화선이 8시간 이내에 닿을 것으로 예측되는 지역에 거주하는 ‘잠재적 위험구역’ 주민에게 대피 준비를 명령할 방침이다.

정부는 기상 악화로 드론이나 헬기를 띄울 수 없어 화선의 정확한 정보를 확인하기 어려울 땐 최대 순간풍속 27.6m/s를 적용해 산불 확산을 예측하기로 했다. 행안부 관계자는 “경남·경북 산불 당시의 최대 순간풍속을 적용해 최대한 보수적으로 위험구역을 설정하기 위한 조치”라고 설명했다.

정부는 산불로 유무선 통신망, 전력 등이 단절될 경우 다양한 정보 전달 매체를 활용해 상황을 전파하기로 했다. 민방공 경보로 주민들에게 대피 정보를 알리고, 가두방송 차량으로 대피 안내를 하는 식이다. 상황이 긴급할 경우 마을순찰대, 자율방재단 등 인적 수단을 활용해 주민 대피를 지원할 계획이다.

아울러 각 지자체는 최대 순간풍속이 20m/s를 넘을 경우를 대비해 읍·면·동, 시·군·구 단위 주민까지 대피할 수 있는 계획안을 수립할 예정이다. 기존엔 마을 단위 주민들의 대피 계획안만 마련돼 있었다. 또 ‘준비’, ‘실행대기’, ‘즉시실행’으로 구성된 ‘산불재난 주민대피 3단계’ 대피 체계도 마련했다. 이는 지역 주민뿐만 아니라 고령자, 장애인 등 취약계층의 대피 계획을 구체화한 것이다.

김용헌 기자 yong@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
Ϻ 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