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얀마 군부가 지난달 28일 규모 7.7의 강진이 발생한 이후 반군을 상대로 50회 이상의 공격을 감행한 것으로 나타났다. 5일 로이터 등 외신에 따르면 유엔 인권최고대표사무소(OHCHR)는 조사 결과 미얀마군이 강진 이후 반군을 53회 공격한 것으로 확인됐다고 발표했다. 군정은 지난 2일 피해 복구를 위한 일시 휴전 선언 이후에도 최소 16차례 공습을 진행했다.
OHCHR은 반군이 장악한 지역 지진 피해자들이 군정의 방해로 인도주의 지원을 받지 못하고 있다고 보고 있다. 라비나 샴다사니 OHCHR 대변인은 군정 공습 상황을 파악하고 있다며 “지진 피해 지역, 그중에서도 군정 통제 밖 지역의 인도주의적 상황이 참혹하다”고 밝혔다. 제임스 로드헤버 OHCHR 미얀마팀장은 “2021년 쿠데타로 정권을 잡은 자신들을 지지하지 않는 사람들에 대한 지원을 막으려는 것”이라고 전했다.
앞서 지난달 28일 미얀마 중부 만달레이 인근에서 발생한 규모 7.7 강진으로 현재까지 파악된 사망자는 3354명을 넘는다. 수도 네피도 등 각지에 큰 피해가 발생한 가운데 군정은 오는 22일까지 반군과의 휴전을 선포했고, 군정에 맞서는 민주 진영 임시정부 국민통합정부(NUG)와 소수민족 무장단체 연합 ‘형제동맹’도 일시 군사 활동 중단을 선언했다.
피해 복구를 위한 국제 사회의 지원이 이어지고 있지만 충분치 않은 상황이다. 특히 미국 트럼프 신정부의 해외 지원 축소 시도와 맞물려 미국의 역할 부재가 지적받고 있다. 전직 미국 국제개발처(USAID) 관계자는 BBC에 지진 소식이 전해진 이후 백악관이 재난 지원 대응팀(DART)을 파견하려고 시도했지만, 트럼프 행정부의 예산 삭감으로 물류 계약이 취소되고 공무원들이 해고돼 작전 수행이 지연됐다고 지적했다. 미국은 200만달러(약 29억원)의 원조를 제공할 것이라고 발표했는데, 이는 1억 위안(200억원) 규모 구호물자 지원을 약속한 중국과 대비되기도 했다. 미국 국무부는 700만달러(약 102억원)를 추가 지원하겠다는 계획을 뒤늦게 내놓았다.
미얀마 군부는 2020년 11월 총선에서 아웅산 수지 국가고문이 이끌던 민주주의민족동맹(NLD)이 승리를 거두자 이듬해 2월 ‘부정선거’를 주장하며 쿠데타를 일으켰다. NLD를 비롯한 민주 진영 정당들은 2021년 4월 NUG를 세우고 시민 방위군을 결성해 군부에 맞서고 있다.
윤준식 기자 semipro@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