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문체부) 장관이 3일 국립국악원 신임 원장 공모 관련 논란과 관련해 다수가 공감할 방안을 찾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유 장관은 이날 문체부가 낸 보도자료를 통해 “이번 국립국악원장 관련 현안을 계기로 여러 장르의 국악인들과 만나 귀한 현장 목소리를 들을 수 있어 의미가 컸다”며 “국립국악원의 역할 강화는 물론 국악계를 대표하는 상징적인 자리에 대한 고민을 통해 많은 분이 공감할 방안을 찾아보겠다”라고 밝혔다. 이어 “올해는 ‘국악진흥법’ 제정 이후 ‘국악의 날’이 시행되는 첫해로서 국악 발전의 전환점이 되는 중요한 시기”라며 “국악계의 힘을 결집하고 국악계 현장 의견을 지속해서 담아내는 정책체계를 만들겠다”고 덧붙였다.
국립국악원장 공모 논란은 그동안 국악 전문가를 대상으로 했던 경력 개방형 직제인 국립국악원 원장 자리를 지난해 12월 31일 대통령령 개정으로 공무원도 지원 가능한 개방형 직제로 변경한 데서 비롯됐다. 특히 국악원장 재공모에 응모한 문체부 고위공무원이 지난해 김건희 여사의 ‘KTV 국악공연 황제관람’과 관련해 국정감사에서 위증 논란을 일으킨 유병채 문체부 국민소통실장인 것이 알려지며 논란을 키웠다. 국악계에선 전직 국악원장과 연구실장 등을 중심으로 ‘국악계현안비상대책협의회’(이하 비대위)를 꾸려 적극적으로 반대하고 나섰다.
이에 대해 문체부는 보도자료를 통해 총 6차례에 걸쳐 장관 주재로 국악계와 간담회를 가졌다고 설명했다. 지난달 14일 비대위를 시작으로 국악계 원로·중진들(3월 24·28·31일, 4월 1일)을 만나 현안을 논의했으며, 국립국악원 직원 및 단원들(3월 11·24일)과도 의견을 청취했다는 것이다. 문체부는 보도자료에서 “국악원의 역할을 강화하기 위해 경영 능력이 있는 인사가 국립국악원장으로 와야 한다는 문체부의 방향에 동의한다는 것이 주된 의견이었다”고 주장했다.
문체부는 또 국립국악원장 직위를 경력개방형에서 개방형으로 바꾼 것은 “지난해 ‘국악진흥법’ 시행을 계기로 국립국악원의 역할을 강화하고 그 위상을 높이기 위해 국립국악원 내 고위공무원 직위의 개방성을 확대하는 단계적 개편을 진행해 오는 일환”이라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해 지난 2월 국립국악원 연구실장 직위를 공직 내부 승진으로 운영해온 자율 직위에서 개방형 직위로 개편으며, 앞으로 문체부 국장급이 오던 국립국악원 기획운영단장 직위의 복수직렬화 개편(일반직공무원 → 일반직공무원 또는 연구직공무원)도 추진할 예정이라는 것이다.
하지만 비대위 측은 “여러 차례 개최했다는 간담회는 참석자 선정의 다양성과 균형성이 결여됐다”면서 문체부가 입맛에 맞는 인물들로만 참석자를 선정해 국악계 갈라치기를 계속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어 “국립국악원장 공모 알박기를 원점에서 재공모하라는 것이고, 국립국악원장은 국악계에서뿐만 아니라 인사혁신처 공모자격에 맞는 분이면 마다할 이유가 없다”면서 “국악계의 다양한 의견 수렴을 평상시에 하시지, 이번 공모 논란을 정당화하는데 활용하는 것이 아쉽다”고 강조했다.
장지영 선임기자 jyjang@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