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태현의 교회공간 탐구 18] 교육 공간

Է:2025-02-20 15:23
ϱ
ũ
교육공간은 학습과 교류가 이루어지는 장소인 만큼, 사용자의 편안함과 집중력을 높이는 동시에 유연성과 확장성을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다양한 교육 활동에 대응할 수 있도록 기능성과 유연성을 갖춘 설계가 이루어진다면, 필요에 따라 쉽게 변경할 수 있는 공간이 될 수 있을 것입니다. 이를 위해 모듈형 설계나 이동식 가구를 활용하면 공간 활용도를 더욱 높일 수 있습니다.

또한, 자연광과 환기, 색상과 재질의 선택이 학습자의 집중력과 학습 효율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만큼, 신중한 접근이 필요합니다. 창의성을 자극하는 색감과 소음을 줄이는 음향 설계가 더해진다면, 보다 쾌적한 교육 및 학습 환경이 조성될 것입니다.

더 나아가, 현대의 교육공간에서는 디지털 기술과의 자연스러운 통합이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는 만큼, 스마트 보드나 음향 시스템, 프로젝터, 고속 인터넷 등의 요소가 공간 설계에 잘 녹아든다면 더욱 효율적이고 혁신적인 학습 환경을 조성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입니다.

교육 공간 구성 요소와 설계 시 고려 사항
교육공간은 학습공간, 교류공간, 지원공간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학습공간은 주로 학습 활동이 이루어지는 장소로, 좌석 배치와 음향 설계가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다양한 크기의 공간을 제공하여 소규모 그룹 활동부터 대규모 강의까지 수용할 수 있도록 설계해야 합니다.

교류공간은 사용자 간의 비공식적인 소통과 협업을 촉진하는 공간입니다. 이 공간은 따뜻하고 개방적인 분위기를 조성하여 사용자들이 자유롭게 교류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좋습니다. 커뮤니티 중심의 디자인을 통해 학습 활동 이외에도 다양한 사회적 교류를 지원할 수 있어야 합니다.

지원공간은 교육 프로그램의 운영과 관리를 지원하는 역할을 하는 곳입니다. 사무실, 회의실, 휴게실 등으로 구성되며, 효율적인 동선과 충분한 수납공간이 고려된 설계가 필요합니다. 이러한 교육 공간을 구성하는 요소들을 설계할 시 고려해야 하는 사항으로 다목적성, 지역사회와의 연결성, 지속 가능성이 있습니다.

교육공간은 다목적성을 갖추어 다양한 활동에 적합하도록 설계시 참고해야 합니다. 이는 이동식 벽체와 가변형 가구를 활용해 공간의 용도를 쉽게 전환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추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또한 지역사회와의 연결성을 강화하기 위해 교육공간을 개방형으로 설계해 커뮤니티 센터와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입니다. 그리고 지속 가능성을 고려할 때 자연 채광을 최대한 활용하고 친환경 소재를 사용하여 에너지 효율성을 높이고 유지 비용을 줄이는 방식으로 공간을 계획해야 합니다. 이러한 접근은 장기적인 비용 절감뿐만 아니라 환경 보호에도 기여할 수 있습니다.

다양한 교육 공간의 유형
덴마크 코펜하겐에 위치한 외레스타드 고등학교(Ørestad High School)는 개방적인 건축 구조를 통해 학교 내부 공간이 서로 유기적으로 연결되고 통합된 형태를 띠고 있습니다. 이러한 개방형 학습 환경은 학생들의 자율성과 협업을 촉진할 뿐만 아니라, 지역 사회와의 연계를 강화하는 역할도 합니다.

학교에 들어서면 가장 먼저 넓은 오픈 공간이 눈에 들어옵니다. 이곳에는 여러 개의 테이블과 의자가 배치되어 있어 학생들이 자유롭게 앉아 휴식을 취하거나 과제를 수행할 수 있습니다. 이 공간을 지나 높게 이어진 계단을 올라가면 돔 형태의 교실들이 펼쳐지는데, 이곳은 학생들의 커뮤니티 활동, 방과 후 프로그램, 또래 멘토링을 위한 공간으로 활용됩니다.

각 교실은 활동의 특성에 맞게 다양한 형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기본적인 책상과 의자가 놓인 전형적인 교실부터, 체육 활동을 위해 거울이 설치된 공간, 그리고 토론과 의견 교환이 용이하도록 긴 테이블과 의자로 구성된 교실까지, 학습 방식에 따라 다양한 공간이 마련되어 있습니다.

2층에 있는 팀룸은 두 가지 유형으로 나뉩니다. 첫 번째 유형은 전통적인 강의식 교실로, 교사가 강의를 진행할 수 있도록 빔프로젝터가 설치되어 있으며 학생들은 책상에 앉아 수업을 듣습니다. 반면 두 번째 유형의 팀룸은 별다른 발표 장치 없이 책상과 의자만 배치된 형태로, 이곳에서 교사는 지식을 전달하는 역할보다 학생들의 팀 활동을 조력하는 코치의 역할을 합니다.

또한, 학생들을 위한 휴식 공간도 2층에 마련되어 있습니다. 돔 형태의 구조 위에는 편안한 소파와 베개가 놓여 있어 학생들이 자유롭게 휴식을 취할 수 있으며, 커다란 통창을 통해 자연광을 만끽할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공간 구성은 학생들이 학습과 휴식을 균형 있게 조절할 수 있도록 돕고, 보다 창의적이고 유연한 학습 환경을 조성하는 데 기여합니다.




헬싱키에 있는 야트카사리 종합학교(Jätkäsaari Comprehensive School)는 현대적인 교육 공간 설계를 통해 학습과 협력의 가능성을 새롭게 정의한 사례입니다. 이 학교는 전통적인 교실 배치를 벗어나, 중앙 로비를 중심으로 연결된 개방형 ‘홈 유닛’ 형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설계를 통해 학생들은 다양한 활동을 자유롭게 탐색하고 협력할 수 있으며, 보다 유기적인 학습 환경 속에서 성장할 수 있습니다.

학교 내부는 차분하고 따뜻한 색감으로 디자인되었으며, 실용성과 내구성을 고려한 재료 선택이 돋보입니다. 오크 목재로 제작된 고정 가구와 콘크리트 바닥이 조화를 이루며, 현대적이면서도 안정감을 주는 분위기를 형성합니다. 특히, 계단실은 회색 콘크리트와 밝은 조명이 대비를 이루며 시각적으로 흥미로운 공간을 만들어냅니다. 기하학적인 계단 라인은 공간의 흐름을 강조하며, 자연스러운 이동을 유도합니다.

학교의 중심에는 아트리움이 자리하고 있으며, 천창을 통해 자연광이 부드럽게 스며듭니다. 천장은 음향 스프레이 코팅이 적용된 콘크리트 원뿔 형태로 설계되어 있어, 소리를 흡수해 조용하고 쾌적한 학습 환경을 제공합니다. 이러한 설계는 단순히 미적 요소를 위한 것이 아니라, 학습과 교류를 자연스럽게 촉진하는 공간을 조성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또한, 열린 학습 공간은 커튼을 이용해 필요에 따라 다양한 크기와 용도로 쉽게 변형할 수 있습니다. 이처럼 유연한 공간 구성은 변화하는 교육 방식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으며, 사용자 중심의 학습 환경을 제공합니다. 커다란 창문과 투명한 유리벽은 공간 간의 시각적 연결성을 높이며, 밝고 개방적인 분위기를 조성해 학생들이 더욱 자유롭게 사고하고 소통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누에바 학교(Nueva School)는 자연과 교육이 조화를 이루는 친환경 학습 공간의 대표적인 사례로, 샌프란시스코 베이 지역의 아름다운 오크 숲 생태계를 배경으로 설계되었습니다. 2024년 Green Good Design: Green Architecture 상을 수상한 이 신축 건물은 학교 캠퍼스에 새롭게 추가된 넷 제로 탄소 건물로, 과학 및 환경 센터(SEC)로 활용되며 실내외 공간을 유기적으로 연결합니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자연 속에서 자유롭게 학습하며, 환경과 가까이 소통하는 경험을 할 수 있습니다.

누에바 학교는 넷 제로 탄소 설계 원칙을 기반으로 건축되었습니다. 이를 통해 운영 에너지를 최소화하면서도 지속 가능성을 극대화하였습니다. 특히, 개방형 복도 설계가 돋보이는데, 불필요한 밀폐 공간을 줄이고 교실과 야외 환경을 자연스럽게 연결하여 학생들이 학습과 자연을 동시에 경험할 수 있도록 합니다. 또한, 넓게 배치된 태양광 패널을 통해 학교에서 필요한 모든 에너지를 자체적으로 생산하며, 친환경 에너지 활용의 좋은 사례를 보여줍니다.

이와 함께, 빗물을 수집하는 대형 물탱크 시스템도 학교의 친환경적 접근을 강조하는 요소입니다. 이 시스템은 지역의 가뭄과 같은 환경적 문제에 대응하며, 자연 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건물의 외벽과 내부에는 목재와 같은 자연 친화적인 재료가 사용되어 주변 환경과 자연스럽게 어우러지며, 따뜻하고 조화로운 공간을 형성합니다.

누에바 학교에서는 교실뿐만 아니라 야외에서도 학습이 이루어집니다. 곡선형 복도와 산책로는 학생들의 자연스러운 이동을 유도하며, 학습 공간과 생태계를 하나로 연결하는 역할을 합니다. 곳곳에 배치된 야외 학습 공간은 학생들에게 다양한 방식으로 학습할 수 있는 유연성을 제공하며, 자연 속에서 창의력을 발휘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합니다. 이러한 공간 설계는 단순한 교육 시설을 넘어, 학생들이 자연과 함께 성장할 수 있도록 돕는 하나의 배움터 역할을 합니다.





발리의 그린 스쿨(Green School)은 지속 가능한 건축의 대표적인 사례로, 자연과의 긴밀한 연결을 핵심 요소로 설계되었습니다. 학교는 벽을 최소화하거나 아예 제거함으로써 실내와 야외의 경계를 허물고, 학생들이 학습 과정에서 자연과 직접적으로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습니다. 이를 통해 학습 공간이 단순한 교육 시설을 넘어, 자연 속에서 사고하고 탐구하는 열린 환경으로 확장됩니다.

특히, 캠퍼스에서 가장 눈에 띄는 건물 중 하나는 대나무로 지어진 아치형 체육관 ‘Arc’입니다. 이 구조물은 현지에서 조달한 대나무를 사용해 긴장된 반곡면(grid shell) 구조로 설계되었으며, 자재의 효율성과 안정성을 모두 충족하는 혁신적인 방식이 적용되었습니다. 대나무의 유연성과 강도를 극대화한 이 설계는 자연과 조화를 이루는 동시에 독특한 시각적 아름다움을 선사합니다. 또한, 체육관의 바닥은 재활용 항공기 타이어로 만들어져 자원의 낭비를 줄이며, 지속 가능성을 실현하는 또 하나의 사례가 됩니다.

그린 스쿨의 벽이 없는 설계는 자연 환기를 극대화해 쾌적한 환경을 조성할 뿐만 아니라, 에너지 소비를 최소화하는 데 기여합니다. 이러한 공간은 학생들의 집중력을 높이고 스트레스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되며, 학업 성취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Arc는 단순한 체육관이 아니라, 학생들이 자연의 일부로 살아가며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특별한 공간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모든 학교가 Arc와 같은 대규모의 독창적인 구조를 도입할 수 있는 것은 아니지만, 이러한 친환경 철학은 작은 변화만으로도 적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창문을 통해 자연광과 신선한 공기를 유입하거나, 낮 동안 불필요한 전기 사용을 줄이는 센서를 설치하는 것만으로도 보다 지속 가능한 학습 환경을 만들 수 있습니다. 그린 스쿨의 사례는 단순한 건축적 혁신을 넘어, 미래 세대를 위한 지속 가능한 교육 환경의 모델이 되고 있습니다.






정리=전병선 선임기자 junbs@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Ŀ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