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 인공지능(AI) 스타트업 딥시크가 개발한 같은 이름의 생성형 AI 모델이 데이터를 유출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돼 일부 국가와 기업이 사용 금지령을 내린 가운데 일본 정부도 자국 공무원에게 이용을 삼갈 것을 권했다.
2일 일본 공영 방송 NHK 등에 따르면 다이라 마사아키 이 나라 디지털 대신은 전날 오키나와현 나고시에서 한 강연에서 딥시크와 관련해 “(이용자의) 개인정보가 제대로 보호되는지가 문제다. 개인정보를 지킨다는 관점에서 필요하다면 개인정보보호위원회가 대응해야 한다. 관련 우려가 불식되기 전까지는 공무원이 사용하는 것을 삼가거나 사용하려면 유의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그는 내각사이버시큐리티센터(NISC)를 통해 각 부처에 주의를 환기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앞서 지난달 31일에도 일본 중의원(하원) 자유민주당 주요 간부인 오노데라 이쓰노리 정무조사회장이 딥시크에 센카쿠 열도가 어느 나라 땅이냐고 물으면 중국이라고 대답한다며 “위험하므로 딥시크를 다운로드하는 것은 중지하기를 바란다”라고 정부에 요구한 바 있다. 당시 이시바 시게루 총리는 “신뢰할 수 있는 AI 모델을 개발하고 이용할 필요가 있다”라고 답했다. 일본이 실효 지배하는 센카쿠 열도는 중국이 해경선 등을 인근 해역에 보내는 등 영유권 분쟁을 벌이고 있다.
앞서 대만 정부도 지난달 31일 딥시크는 중국 제품으로 국경 간 데이터 전송 과정에서 정보 유출 우려가 있다며 “정부의 정보 보안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딥시크를 사용하지 말라”라고 밝힌 바 있다. 네덜란드는 딥시크의 개인정보 수집 과정에 대한 조사에 착수하는 한편 자국민에게 사용 경고령을 내렸다. 이탈리아의 경우 아예 애플리케이션 스토어에서 딥시크를 삭제했다. 영국과 독일은 딥시크 규제 카드를 만지작거리고 있으며 프랑스도 정보 유출 우려를 제기하고 있다.
김진욱 기자 reality@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7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