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주도가 인구정책담당관제를 신설하고, 도민 원탁회의를 통해 실효성있는 인구 정책 발굴에 나선다. 한때 이주 열풍으로 15년새 인구가 20%나 늘었지만, 최근에는 자연 감소까지 겹치며 인구 감소세가 또렷해졌기 때문이다.
제주도는 오는 24일 글로스터호텔에서 ‘도민과 함께 미래를 기획하는 인구정책 원탁회의’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회의에는 인구정책의 직접적인 수혜자이자 이해 당사자인 청년·신혼부부·육아 부모 등 2040세대 100여명이 참여해 인구 증가를 유도하는 정책 아이디어를 논의한다.
도는 이번 회의 결과를 현재 마무리 단계에 있는 ‘제주도 제2차 인구정책 종합계획 수립 용역(2025~2029)’에 반영해 실질적이고 효과적인 인구 정책을 마련할 예정이다.
앞서 도는 이달 14일자 정기인사 및 조직개편에서 기획조정실 내 인구정책담당관을 신설했다. 또 인구정책담당관 산하에 외국인이민정책팀을 설치해 분산된 외국인 관련 업무를 총괄하도록 했다. 출생, 이주민, 외국인 등 제주 인구를 전체적으로 짜임새 있게 관리해 나가겠다는 취지다. 도는 이번 조직개편 핵심을 인구정책 대응 강화에 뒀다고 밝혔다.
제주는 관광시장 호황과 국제학교 개교 등으로 인한 이주 열풍에 힘입어 2006년 55만8496명이던 인구가 2020년 67만4635명으로 20%나 늘었다.
전입인구에서 전출인구를 뺀 순이동인구는 2016년 한 해에만 1만4632명에 달하는 등 2014~2017년까지 주민등록 인구가 매년 1만명 이상 증가했다.
하지만 2018년 이후 인구 증가폭은 둔화됐고, 2023년에는 14년 만에 순유출로 돌아섰다. 순유출 규모는 2023년 1687명에서 지난해 3600여명으로 두 배 이상 증가했다.
현재 제주지역 총인구는 2024년 기준 67만367명으로, 2019년(67만989명) 밑으로 떨어졌다.
여기에 자연 감소도 또렷해지고 있다. 2014년과 2023년 통계를 비교하면, 사망자는 3300명에서 4677명으로 41% 늘고, 출생아는 5526명에서 3222명으로 41%가 줄었다.
제주 인구가 감소하는 원인으로는 부동산 가격 급등으로 인한 주거 비용 상승과 비싼 생활 물가, 양질의 일자리 부족 등이 지목되고 있다.
제주도는 사회적 이동이 줄어드는 상황에서 자연 감소까지 나타나면서 위기감을 느끼고 있다.
한미숙 제주도 인구정책담당관은 “인구는 지역 발전과 활력에 매우 중요한 요소”라며 “유·출입 인구의 이동 지역과 연령대, 이동 사유 등을 면밀히 분석하고, 여러 세대의 목소리를 통합적으로 청취해 실질적이고 효과적인 인구 정책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제주=문정임 기자 moon1125@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