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충남에서 항생제 내성균인 카바페넴내성장내세균목감염증(CRE) 양성률이 매년 증가하고 있어 고령층 등 감염 취약계층의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13일 충남도 보건환경연구원에 따르면 도내 CRE 검사와 양성 확인 건수는 2021년 504건 중 458건(90.9%), 2022년 1116건 중 1025건(91.8%), 2023년 1715건 중 1583건(92.3%), 지난해 2836건 중 2703건(95.3%)으로 집계됐다.
검사 의뢰 건수와 양성률이 해마다 증가하는 가운데 지난해 검사 건수 2836건 중 70세 이상 고령 인구가 2137건으로 전체의 75.4%를 차지했다.
검사 의뢰 장소 역시 2082건(73.4%)이 도내 요양병원으로 확인돼 공중보건에 큰 위험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CRE 감염증은 카바페넴계 항생제에 최소 한 가지 이상 내성인 장내세균목의 균종에 의한 감염질환이다.
환자나 병원체 보유자와의 직·간접 접촉, 오염된 기구나 물품·환경 등을 통해 전파된다. 요로감염과 위장관염, 폐렴, 패혈증 등 다양한 감염증을 유발할 수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
최근 국내·외에서 빠른 속도로 증가 추세지만 치료가 어려워 사망률이 높은 편이다.
카바페넴 항생제에 내성을 보이는 CRE 감염증 환자는 다른 항생제에도 내성을 지니는 경우가 많아 기존 항생제를 이용한 치료에 어려움이 따르는 만큼 사망률에도 영향을 끼친다.
김현정 감염병연구부장은 “감염 환자와의 접촉을 피하고 무엇보다 손씻기 등 개인 위생관리와 더불어 의료기관 내 감염 확산 방지를 위한 철저한 노력이 필요하다”며 “앞으로도 신속하고 정확한 검사, 시의적절한 정보 제공을 통해 도민의 감염 예방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홍성=김성준 기자 ksj@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