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엑스에서 22~31일 공연되는 오페라 ‘어게인 2024 투란도트’ 개막을 몇 시간 앞두고 연출가가 프로덕션(㈜2024투란도트문화산업전문회사)에 결별을 선언했다. 이에 맞서 ㈜2024투란도트문화산업전문회사는 연출가의 무성의와 지나친 개런티 요구에서 시작된 문제라며 소송 제기가지 언급해 파장이 커지고 있다.
이탈리아 출신의 저명한 연출가 다비데 리베르모어는 22일 오전 언론에 보도자료를 통해 ‘어게인 2024 투란도트’ 프로덕션과 결별하며 그 예술적 결과물을 인정할 수 없다고 발표했다. 그 이유로 박현준 총감독이 이끄는 프로덕션이 장이머우 연출을 강요했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리베르모어 측은 “이번 프로젝트를 만들며 양측이 정식으로 계약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프로덕션의 일방적이고 지속된 변경으로 인해 리베르모어와 그의 협력자 카를로 샤칼루가의 연출 작업이 불가능해졌다. 특히 제작진은 장이머우 감독이 마조 무지칼레 피오렌티노 페스티벌에서 연출한 (‘투란도트’) 공연에서 무대동선을 복사하도록 강요했다”면서 “이로 인해 프로덕션은 원래의 기획 의도에서 벗어났고 세계적으로 재능과 전문성을 존중받아 밀라노 스칼라극장에서 4회 연속 개막공연의 기록을 세운 연출가 리베르모어가 보여주는 수준에서 크게 벗어났다. 리버모어는 ‘어게인 투란도트’를 자신의 작품으로 인정하지 않으며, 이 프로덕션의 예술적 결과와 완전히 결별한다고 선언했다”고 주장했다.
㈜투란도트문화산업전문회사의 ‘어게인 2024 투란도트’는 2003년 상암월드컵경기장에서 장이머우 연출 ‘투란도트’ 공연을 주도했던 박현준 총감독이 이끌고 있다. 제목에서 짐작하듯 2003년 경기장 오페라 붐의 출발점인 상암월드컵경기장의 ‘투란도트’의 성공을 다시 한번 구현하겠다는 의도다. 이번 공연은 가로 45m, 높이 17m의 대형 세트가 코엑스 D홀 특설무대에 설치되며, 발광다이오드(LED) 화면을 활용해 다채로운 배경을 구현할 계획이다. 실내 오페라 공연 역사상 세계 최대 규모라는 게 프로덕션 측의 설명이다.
리베르모어 측은 “제작진과 연출가 사이의 건설적인 대립은 일반적인 관행이지만, 이번 경우에는 그러한 협력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는 협력이 아닌 비전문적인 아마추어 수준의 권위주의적 강요였다. 또한, 박 감독의 프로덕션은 계약상의 지불 의무를 이행하지 않았다”면서 “리베르모어는 필수적인 품질 기준과 전문적 존중이 결여된 프로덕션과 자신의 이름이 연관되는 것을 허용할 수 없다. 필요한 경우 이 보도자료에 포함된 모든 진술을 정확히 입증할 수 있는 이메일 교환 내용을 포함한 광범위한 문서를 제공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투란도트문화산업전문회사는 오후에 보도자료를 내고 “그동안 한국 오페라를 우습게 여겨왔던 이탈리아 오페라 관계자들이 이번 ‘어게인 투란도트’에서 다시 한번 한국을 봉으로 아는 추태를 보였다”면서 “‘어게인 투란도트’ 제작진은 2003년 상암 월드컵 ‘투란도트’를 21년만에 다시 코엑스에서 선보이기 위해 준비하는 과정에서 리베르모어를 만나 연출을 맡기기로 결정했다. 이 합의는 수개월전 이루어졌고 그동안 박현준 감독은 여러차례 2003년 상암 투란도트 버전으로 준비해달라고 요구했다. 하지만, 그들은 제작진의 의도를 듣지않고 전혀 다른 방향으로 ‘투란도트’를 연출하려고 했고, 한국 제작진이 그것을 받아들이지 않자 갈등이 생겼다”고 반박했다.
특히 ㈜투란도트문화산업전문회사는 “리베르모어 연출가의 어시스턴트인 카를로 샤칼루가가 11월 25일 입국했지만 한국에서 거의 완성된 ‘어게인 투란도트’에서 연출 관련 업무를 전혀 하지 않았으면서도 개런티를 요구했다. 프로덕션은 연습을 참여하지 않은 노쇼(No show)로 간주하고 샤칼루가를 이탈리아로 돌려보냈다”면서 “이후 박 감독이 연출을 맡아 2003년 상암 ‘투란도트’의 감동을 재현했다”고 주장했다. 이어 “공연을 앞두고 리베르모어가 한국에 왔지만 연출과 관련해 도움을 준 것은 하나도 없으면서 개런티를 요구해 박 감독이 ‘불가’ 입장을 밝혔다. 이 과정에서 협박성 발언까지 해서 ‘어게인 투란도트’ 측은 형사적 소송을 검토중”이라고 덧붙였다.
양측 입장이 극격렬하게 엇갈리는 가운데 ‘어게인 2024 투란도트’는 개막 전부터 연출가와 창작진의 갈등으로 공연 완성도에 대한 말이 나올 수 밖에 없게 됐다. 나아가 개런티 등의 문제가 원만히 합의되지 않으면 자칫 국제적 소송으로 비화될 우려도 제기된다.
장지영 선임기자 jyjang@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