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민의힘이 ‘내란 옹호당’ 프레임을 벗어내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다. ‘한동훈 지도부’의 퇴장 이후 윤석열 대통령 탄핵에 반대하는 목소리가 당내 주류로 자리를 굳히면서 야당의 이런 공세는 더욱 거세지는 모양새다. 국민의힘 의원들을 자신들을 ‘내란 공범’으로 칭한 김용민 더불어민주당 의원에 대한 징계를 요구하고 나섰다.
국민의힘 의원 21명은 19일 김 의원에 대한 징계요구안을 국회 윤리위원회에 제출했다. 김 의원이 지난 17일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회의에서 국민의힘 의원들이 12·3 비상계엄을 해제하려던 본회의를 지연시켰다고 주장하며 “여당 의원 상당수가 내란의 공범”이라고 말한 것을 문제 삼은 것이다.
박수민 국민의힘 원내대변인은 “김 의원은 법적, 실체적 확인 되지 않은 내란죄에 대해서 동료 의원에게 단언적으로 ‘내란 동조’라는 발언을 했다”며 “이것은 법적인 윤리적인 선을 넘은 것”이라고 말했다.
국민의힘은 윤리위 징계 외에 법적 조치도 검토 중이다. 박형수 원내수석부대표는 “김 의원은 전혀 반성의 기색 없이 자신의 SNS에 ‘여당은 계엄군이 국회의원을 끌어내려 했던 행위에 대해 동조한 것에 사과하라’는 취지로 여전히 같은 주장을 하고 있다”며 “민·형사상 법적 책임을 묻는 방안을 적극 검토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국민의힘은 윤 대통령 탄핵 반대 여부와는 별개로 12·3 비상계엄 자체에 대해서는 비판적인 스탠스를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지난 4일 새벽 계엄 해제 요구안 가결에 기여한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가 물러난 뒤 계엄 비판 입장도 빛이 바라는 상황이다.
‘계엄·내란 옹호당’이라는 꼬리표에 당 지지율은 하락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 엠브레인퍼블릭·케이스탯리서치·코리아리서치·한국리서치가 지난 16~18일 전국 18세 이상 1002명을 대상으로 한 전국지표조사에서 국민의힘 지지율은 26%로 11월 3주차 때보다 4% 포인트 떨어졌다(그 밖의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
이런 상황은 비대위원장 인선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원내 중진의원이 맡는 방안이 유력하게 거론되고 있지만 당내 일각에서는 계엄 해제 표결에 참여하지 않은 의원이 당의 간판이 되면 ‘계엄 옹호당’ 공세에 더 말릴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안철수 의원은 “이른바 ‘탄핵의 강’을 피하려던 당이 ‘계엄의 바다’에 빠졌다. 친윤당, 계엄 옹호당으로 낙인찍히면 집권은 불가능하다”고 페이스북에서 지적했다.
정현수 이강민 기자 jukebox@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