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 정부는 12일 윤석열 대통령이 대국민 담화에서 중국인 연루 간첩 사건을 거론한 것에 대해 한·중 관계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비판했다.
마오닝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한국 측의 언급은 매우 뜻밖이며 불만을 느낀다”고 말했다. 중국 외교부는 한국의 비상계엄 및 탄핵 정국에 대해 “한국의 내정이므로 논평하지 않겠다”며 말을 아껴왔지만, 이날은 달랐다.
마오 대변인은 “한국 측이 내정 문제를 중국 관련 요인과 연관 지어 ‘중국 간첩’이라는 누명을 꾸며내고, 정상적 경제·무역 협력을 먹칠하는 것에 단호히 반대한다”며 “중·한 관계의 건강하고 안정적인 발전에 이롭지 않다”고 밝혔다.
그는 “중국 정부는 해외에 있는 중국 공민에게 현지 법률·법규를 준수할 것을 일관되게 요구해왔다”면서 “한국 측이 언급한 관련 사건은 아직 결론에 이르지 못했다. 중국과 한국은 계속 소통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중국은 한국 측이 중국 공민이 연루된 사건을 공정하게 처리하고 중국에 사건 처리 상황을 제때 통보하며 사건에 연루된 중국 공민의 안전과 합법적 권익을 실질적으로 보장할 것을 다시금 촉구한다”고 강조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대국민 담화에서 2년 이상 한국 내 군사시설들을 촬영한 중국인 3명이 최근 적발된 일과 지난달 드론으로 국가정보원을 촬영하다 붙잡힌 40대 중국인 사례를 들며 “이러한 상황을 막기 위해 형법의 간첩죄 조항을 수정하려 했지만, 거대 야당이 완강히 가로막고 있다”고 주장했다.
또 “망국적 국헌 문란 세력이 이 나라를 지배한다면 어떤 일이 벌어지겠는가”라며 “원전 산업, 반도체 산업을 비롯한 미래 성장 동력은 고사될 것이고, 중국산 태양광 시설들이 전국 삼림을 파괴할 것”이라고 주장하기도 했다.
마오 대변인은 윤 대통령의 ‘중국산 태양광 시설’ 언급에 대해선 “중국의 녹색산업 발전은 세계 시장의 수요와 기술 혁신, 충분한 경쟁의 결과”라며 “기후 변화에 대응하는 글로벌 환경 거버넌스 개선에 대한 중요한 공헌”이라고 밝혔다.
베이징=송세영 특파원 sysohng@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