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석열 대통령이 비상계엄 선포 이후 정치인 체포를 지시했는지를 두고 조태용 국가정보원장과 홍장원 국정원 1차장의 주장이 엇갈리고 있다. 조 원장은 윤 대통령으로부터 직접적 지시를 받지 못했다는 입장이지만 홍 1차장은 윤 대통령과 직접 통화했다고 주장하고 있다.
홍 1차장은 6일 국회 정보위원회 회의실에서 진행된 여야 의원과의 면담에서 “3일 윤 대통령으로부터 두 번의 전화가 왔다. ‘이번 기회에 다 잡아들여. 싹 다 정리해’라고 지시했다”고 말했다고 김병기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밝혔다. 홍 1차장은 이날 국회 정보위원장을 만나 비상계엄 당시 전후 상황을 비공개로 보고했다.
김 의원에 따르면 홍 1차장은 지난 3일 계엄 선포 후 윤 대통령으로부터 걸려온 전화를 받았다. 당시 윤 대통령은 “국정원에도 대공수사권을 줄 테니 우선 방첩사령부를 도와 지원해”라며 “자금이면 자금, 인력이면 인력 무조건 도와라”고 지시했고 홍 차장은 이에 “알겠다”고 답했다.

홍 1차장은 윤 대통령과의 통화 이후 여인형 방첩사령관의 연락을 받았다고 전했다. 여 사령관이 체포 대상자 명단을 통화로 불러 검거를 위한 위치 추적을 요청했다는 것이다. 홍 1차장에 따르면 우원식 국회의장,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박찬대 민주당 원내대표, 김민석 민주당 수석최고위원, 정청래 법제사법위원장(민주당), 조국 조국혁신당 대표, 유튜버 김어준, 김명수 전 대법원장, 권순일 전 대법관 등이 체포 대상이었다.
홍 1차장은 이같은 명단을 듣고 “미친X라고 생각해 메모하지 않았다”고 했다고 김 의원이 전했다. 홍 1차장은 자신의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해 윤 대통령과의 통화 기록과 여 사령관과의 통화 기록을 공개했다.

그러나 조 원장은 이같은 홍 1차장의 주장이 사실과 다르다고 반박했다. 조 원장은 “이번 비상계엄과 관련해 대통령이 국정원장에게 정치인을 체포하라는 지시를 전혀 한 적이 없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그런 일이 있었다고 보도가 나왔을 때 홍 1차장에게 직접 ‘그런 지시를 받은 게 있냐’고 확인했는데 본인이 오보라고 했다”며 “그런 사실이 없다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홍 1차장이 대통령과 통화한 기록을 제시했다’는 취지의 질문에 조 원장은 “그런 지시가 없었을 것이라 생각한다. 지시가 만약 있다면 원장인 저에게 지시가 오는 게 맞다”며 “제가 아는 한 대통령과 홍 1차장은 개인적 친분이 없다. 1차장 말이 맞다고 생각하기 굉장히 어렵다”고 답했다.
권민지 기자 10000g@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