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석열 대통령의 계엄 시도 실패로 정권이 교체될 것이라는 관측이 일본에서도 나오고 있다. 다음 달로 예정됐던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의 방한은 무산될 가능성이 높아진 분위기다.
일본 정부도 윤 대통령이 왜 계엄을 선포했는지 아리송해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일본 지지통신은 5일 “계엄령이 ‘실패’로 끝난 지금 ‘윤 정부가 오래가지 못할 것’이라는 관측도 일본 내에서 적지 않다”고 보도했다.
통신은 “계엄령 발동은 1987년 민주화 이후 처음”이라며 “일본 정부 내부에서는 ‘놀랍다’ ‘예상 밖이다”는 반응과 함께 윤 대통령의 의도를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라고 설명했다.
지지통신은 “다음 달 예정됐던 이시바 총리의 방한은 실현이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이 급속히 확산되고 있다”고도 전했다. 외무성 고위 관계자는 “무리다”고 단언했다고 한다.
이시바 총리는 전날인 4일 기자단에 내년 1월 초로 조율 중인 자신의 방한 계획에 대해 “아직 구체적으로 결정된 것이 없다”고 말했다. 그 후 총리 관저에서 하야시 요시마사 관방장관, 이와야 다케시 외무상, 나카타니 겐 방위상과 한국 정세에 대한 대응 방안을 협의했다고 한다.
이달 중순 한국을 방문하기로 했던 스가 요시히데 전 총리 등 일한의원연맹은 이미 일정을 곧장 취소했다. 내년 한·일 국교 정상화 60주년을 맞아 기념사업을 논의할 예정이었다.
의원연맹 관계자는 “이런 상황에서는 갈 수 없다”고 한숨을 내쉬었다고 지지통신은 전했다.
통신은 “정치적 혼란이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며 “일본 정부 내에서는 윤석열 정부의 미래를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고 보도했다.
일본 정부가 가장 우려하는 건 한·일 관계에 미칠 영향이다.
통신은 “윤 대통령이 사임으로 몰리게 된다면 한국 측이 강제징용 및 위안부 문제와 관련해 다시 대립적 태도를 보이면서 한·일 관계가 급속히 악화할 위험도 내포하고 있다”고 판단했다.
일본 정부 관계자는 지지통신에 “정권이 바뀌면 역사 문제는 다시 원점으로 돌아갈 것”이라며 “한·미·일 협력도 어려워질 것”이라고 말했다.
강창욱 기자 kcw@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