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백악관은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 해제와 관련 “안도한다”고 밝혔다. 미국 정부는 비상계엄 선포 직후부터 “우려스럽다”는 기조를 이어갔다.
백악관 국가안전보장회의(NSC) 대변인은 3일(현지시간) 윤 대통령의 계엄 선포 해제에 대한 국민일보 질의에 “우리는 윤 대통령이 우려스러운(concerning) 계엄령 선포와 관련한 입장을 번복하고 한국 국회의 계엄령 종료 표결을 존중해준 데 대해 안도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민주주의는 한미동맹의 근간이며, 우리는 계속해서 상황을 주시할 것”이라고 말했다.
백악관이 한미 동맹의 근간이 “민주주의”라고 밝히고, 계엄 선포에 대해 “우려스럽다”고 표현한 것은 윤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에 부정적 인식을 드러낸 것으로 보인다.
미국 정부는 비상계엄 선포가 발표된 이후부터 우려스럽다는 입장을 유지했다. 국무부에서 인도·태평양 지역을 총괄하는 커트 캠벨 부장관은 일본 오사카 엑스포와 관련, 이날 워싱턴DC에서 열린 사전 행사에서 “논의에 앞서 짧은 성명을 발표하고 싶다”며 “우리는 중대한 우려(grave concern)를 갖고 최근 한국의 상황 전개를 주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오늘 오후에 질문을 받겠지만, 가능한 한 이 내용을 기록에 남기고자 한다”고 했다.
캠벨 부장관은 이어 “우리는 이곳과 서울에서 모든 급의 한국 측 인사들과 관여를 시도하고 있다”면서 “(바이든) 대통령, 국가안보보좌관, 국무장관 등 모두가 상황에 대해 브리핑을 받았고, 지속해서 상황에 대한 평가를 보고받고 있다”고 소개했다.
이어 “나는 한국과의 동맹이 철통같으며, 그들의 불확실한 시기에 한국의 편에 서 있다는 점을 강조하고 싶다”면서 “또한 어떤 정치적 분쟁이든 평화적으로, 법치에 부합하게 해결될 것을 전적으로 희망하고 기대한다는 점을 강조하고 싶다”고 강조하기도 했다. 조 바이든 대통령도 이날 앙골라에서 기자들의 한국 계엄령 관련 질문에 “막 브리핑을 받았다”며 “자세한 내용은 보고받지 못했다”고 답변했다고 백악관 풀기자단이 전했다.
국무부도 브리핑에서 ‘법치’를 강조했다. 베단트 파텔 수석 부대변인은 브리핑에서 한국 국회가 계엄령 해제 요구 결의안을 통과시킨 것과 관련, “특정 국가의 법과 규칙은 해당 국가에서 준수돼야 한다는 것이 우리의 희망이자 기대”라고 답했다.
그는 한국 국회의 계엄 해제 결의 표결도 포함되느냐는 질문에 “그것도 같은 경우”라고 답변했다. 그러면서 “한국 상황에 대해 심각한 우려를 갖고 지켜보고 있다”고 했다. 국무부는 미국이 윤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를 사전에 통지받지 못했다고 밝혔다.
국방부의 팻 라이더 대변인도 이날 브리핑에서 비상계엄 선포 이후 주한미군 태세 변화 여부에 대해 질문받자 “내가 아는 한 변화는 없다”며 “기본적으로 (주한) 미군에 영향은 없었다”고 답했다. 라이더 대변인은 윤 대통령의 계엄 선포를 지지하는지에 대해 질문받자 즉답을 피하면서 “우리는 상황을 계속 모니터링할 것이다. (한미) 동맹과 한국 방어에 대한 우리의 공약은 철통같다”고 말했다.
워싱턴=임성수 특파원 joylss@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