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거취약가구 20% 재난 발생 시 자력대피 어려워”

Է:2024-11-28 11:23
ϱ
ũ

충남도 인권센터, 기후 위기와 주거권 실태조사 연구용역 중간 보고회


충남지역 주거 취약 가구 20%는 재난 발생 시 자력으로 대피하기 어렵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충남도 인권센터는 28일 도청 소희의실에서 ‘충남도 기후위기와 주거권 실태조사 연구용역’ 중간 보고회를 열고, 지난 5월부터 10월까지 주거환경이 취약한 500가구를 대상으로 벌인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500가구 중 고령자(65세 이상)와 1인 가구가 각각 372가구(74.4%), 209가구(41.8%)로 비율이 높았다. 주거 형태는 단독주택이 82.3%였으며, 현 주거에서 살고 있는 기간은 평균 34.2년이었다.

재난 발생 시 자력으로 대피하기 어려운 가구는 500가구 중 100가구(20.0%)로 대책 마련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됐다.

월평균 에너지사용료는 겨울철 26.8만원, 여름철 10만원이었고, 가구소득이 낮을수록 실내온도가 적절하게 유지되지 않는다고 응답했다.

현재 살고 있는 집의 위험 요소로는 낮은 단열 성능(41.1%)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기후위기 대응을 위해 필요한 조치로는 구조보강·리모델링 등 주택개량(49.4%)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현재 살고 있는 집의 주거환경 개선을 위해 필요한 지원은 에너지 바우처 등 사용료 지원(48.6%), 주택성능 개선 지원(46.2%)이라고 답했다.

재난 피해 예방을 위해 신규 설치가 필요한 시설은 주택 내 침수 방지시설(23.7%), 주택 내 소방시설(23.3%), 산사태 방지시설(21.1%) 등 순이었다.

기후위기를 체감하는 요인(중복선택)으로는 폭염(81.2%), 폭우·태풍(53.8%) 순으로 나타났고, 기후위기로 인해 피해를 본 재난의 유형은 폭우·태풍·집중호우(90.5%), 해수면 상승(13.6%)으로 조사됐다.

최근 5년 동안 기후재난으로 피해를 본 가구 중 정부와 지자체로부터 지원을 받은 비율은 50.9%, 지원을 받지 못한 비율은 33.7%로 나타났다.

재난피해 보상기준과 보상금액 등 재난피해 지원에 대한 평가는 부정적인 응답이 높았고, 피해복구를 위해 추가로 필요한 지원으로는 재난지원금 등 현금 지원(65.5%) 비율이 높았다.

홍성=김성준 기자 ksj@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
Ϻ 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