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주일에 중강도 신체활동(PA)을 150분 이상 하면 모든 원인으로 인한 사망 위험을 평균 22% 줄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운동의 사망 예방 효과는 고령층에서 더 컸다.
스페인 마드리드대 의대 데이비드 마르티네스-고메스 교수팀은 22일 미국 의학협회 학술지 ‘JAMA 네트워크 오픈(JAMA Network Open)’에 이 같은 결과를 공개했다.
연구팀은 미국·영국·중국·대만의 건강조사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해 20~97세 201만1186명의 신체활동 가이드라인(주당 중강도 신체활동 150~300분, 고강도 신체활동 75~150분) 충족 여부와 연령대별 사망 위험 간 연관성을 11년간 추적했다.
이 기간 사망자는 17만7436명이었다.
연구팀은 신체활동과 사망 위험 간 연관성은 성인 전 생애에 걸쳐 일관되게 유지됐다고 전했다. 건강한 노화와 수명 연장을 위해서는 성인 생활 모든 단계에서 규칙적인 신체활동이 필수라는 의미다.
운동 권장량 이상으로 신체활동을 하면 사망 위험을 낮출 수 있다는 강력한 증거가 있지만 이런 연관성이 나이에 따라 달라지는지는 명확하지 않다.
연구팀은 신체활동은 노화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이 있지만 절대적인 사망 위험은 증가한다고 설명했다. 사망 원인도 나이에 따라 다르지만 신체활동 가이드라인은 동일하게 적용된다고 지적했다.
주당 권장량 운동량 이상 신체활동을 하는 사람들은 운동하지 않는 사람보다 사망 위험이 22% 낮았다.
사망 예방 효과는 운동량이 많을수록, 그리고 고령층에서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주당 권장량만큼 운동하는 그룹의 사망 위험은 권장량만큼 운동하지 않는 그룹보다 14% 낮았다.
운동량이 권장량의 2배인 그룹은 22%, 3배인 그룹은 25%, 4배와 5배인 그룹은 각각 26% 낮았다.
권장량 이상 운동할 경우 연령대별 사망 위험 감소 폭은 20대에서는 16%였으나 80세 이상에서는 22%로 분석됐다.
연구팀은 신체활동과 사망 위험 간 연관성이 전 생애에 걸쳐 일관되게 유지됐다며 모든 연령대에 동일한 신체 활동량을 권장하는 현행 가이드라인을 뒷받침한다고 말했다.
박상희 인턴기자 onlinenews1@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