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여름 집중호우 때 발생한 부산 도시철도 사상~하단선 공사 현장 주변의 땅 꺼짐 사고는 흙막이 공법 변경으로 차수 기능이 저하된 것이 주요 원인으로 조사됐다.
부산시와 지하사고조사위원회는 21일 사상~하단선 1공구에서 발생한 두 건의 지반 침하 사고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에 따르면 지 8월 20일 사상구 새벽로에서 발생한 땅 꺼짐은 50㎜의 비로 오수관 역류와 수압 상승이 발생했고, 차수 기능이 약화한 흙막이로 물과 흙이 빠져나가면서 지름 5m, 깊이 3m 크기의 땅 꺼짐이 발생했다.

애초 이 구간은 ‘CIP 공법’으로 시공 예정이었으나, 지하 매설물 문제로 ‘H-Pile 토류벽 콘크리트 SGR 차수 공법’으로 변경됐다. 하지만 실트질 지반에서 차수 그라우팅이 충분히 이뤄지지 않아 기능이 저하된 것으로 조사됐다.
사고 다음 동서고가 하부 도로에서 발생한 또 다른 땅 꺼짐은 빗물박스 접합부 파손으로 물이 새어 나와 지반이 약해지고, 차량 하중으로 이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위는 SGR 공법이 적용된 구간에 대한 지반침하 위험도평가와 고압 분사식 차수 그라우팅을 통한 차수 기능 강화를 권고했다.
부산시는 조사 결과를 부산교통공사 등 관련 기관에 통보하고 재발 방지 대책을 신속히 마련할 계획이다.
부산=윤일선 기자 news8282@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