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체활동량 40세 이후 신체 활동량을 전체 인구의 상위 25% 수준으로 늘리면 기대수명이 평균 5년 늘어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호주 그리피스대 레너트 비어만 교수팀은 15일 영국 스포츠 의학 저널(British Journal of Sports Medicine)을 통해 40세 이상 미국인의 신체활동 추적 데이터와 국립보건통계센터의 사망률 데이터를 이용한 모델 연구에서 이런 연관성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신체활동이 적으면 심장질환이나 뇌졸중 증의 질병에 걸릴 확률과 조기 사망 위험이 높아진다는 사실은 잘 알려졌지만, 낮은 신체활동 수준이 수명을 얼마나 단축시키는지는 명확하지 않았다고 연구 배경을 설명했다.
연구팀은 신체활동 수준에 대한 데이터로 2003~2006년 국민건강영양조사의 40대 이상의 활동 추적 데이터를 수집했다. 기대수명 데이터는 2017년 국립보건통계센터 사망률 데이터를 기반으로 2019년 미국 인구 생명표를 만들어 활용했다.
이 데이터들을 적용해 신체활동 수준이 기대 수명에 미치는 영향을 추정하는 예측 모델을 생성했다. 이어 40대 이상을 신체 활동량이 가장 낮은 수준부터 가장 높은 수준까지 4개 그룹으로 나눠 각 그룹별 기대수명을 예측했다.
신체활동량 상위 25% 그룹은 ‘시속 4.8㎞의 보통 속도로 매일 160분 이상 걷는’ 정도의 활동을 하는 것으로 분류됐다. 반면 하위 25% 그룹은 하루 50분 정도 걷는 수준의 신체활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이 분석한 결과 하루 평균 신체활동량을 걷는 시간 기준 1시간씩 늘릴 때마다 기대 수명은 376분(약 6.3시간)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적용하면 40대 이상이 모두 상위 25% 그룹처럼 ‘매일 160분 걷는’ 수준으로 신체활동을 하면 평균 기대수명은 약 79세에서 84세로 5년 정도 늘어날 것으로 예측됐다.
가장 큰 효과를 볼 수 있는건 활동량 하위 25%인 사람들로, 이들이 상위 25% 만큼 활동량을 늘리면 기대 수명이 약 11년 더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됐다.
연구팀은 해당 연구가 인과 관계를 규명하기 어렵고 한계도 있지만, 신체활동 증진에 대한 투자를 늘리고 촉진하는 환경을 만들면 인구 전체와 개인 수준에서 기대수명을 늘릴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적었다.
그러면서 신체활동이 예상보다 훨씬 큰 건강상의 이점을 제공한다며, 현재까지의 연구는 활동 부족으로 인해 생기는 문제들을 과소평가하고 있었다고도 덧붙였다.
연구팀은 “신체활동을 장려하는 교통수단, 걷기 좋은 동네, 녹지 공간 조성 등이 인구 수준에서 신체활동을 증가시킴으로써 건강한 기대수명을 늘릴 수 있는 유망한 접근 방식이 될 수 있다”고 제언했다.
이가림 인턴기자 onlinenews1@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