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시가 박원순 전 서울시장의 도시재생 1호 사업지였던 종로구 창신동 일대에 6400가구 규모의 주거단지를 조성하는 신속통합기획(신통기획)을 확정했다. 이번 사업에는 행정절차를 간소화한 신통기획 방식이 적용되면서 재개발 추진 속도가 빨라질 것으로 전망된다.
시는 13일 창신동 23-606번지, 629번지를 신통기획 신규 대상지로 확정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지난해 신통기획이 확정된 창신동 23-2·숭인동 56-4일대를 포함한 4곳(약 34만㎡)의 통합개발 계획도 완성됐다. 신통기획은 서울시가 재개발·재건축 사업 초기부터 각종 심의를 통합해 인허가 절차를 대폭 단축하는 방식을 뜻한다.
창신동 일대는 2007년 오세훈 시장 재임 시절 뉴타운 지구로 지정돼 아파트 단지 등으로 재개발될 예정이었다.
하지만 박 전 시장은 2013년 창신동 일대의 뉴타운 지정을 해제했고, 이듬해 이곳을 서울의 1호 도시재생 선도구역으로 지정했다. 이후 창신동 일대에는 800억원이 넘는 예산이 투입돼 벽화가 그려지고 전망대도 생겼지만, 주민들 불만은 끊이질 않았다. 주거환경과 인프라가 열악한데다 가파른 경사와 협소한 도로로 인해 소방차 진입도 어려웠다.
이에 시는 창신동 일대에 신통기획을 적용해 주거환경 개선에 나섰다. 대상지는 도로가 협소하고 노후 건축물이 전체 95%에 달하는 등 주거환경이 매우 열악한 지역들이다. 또 주변 한양도성, 흥인지문 등 국가유산으로 인한 앙각 규정 등 제약이 많은 곳이기도 하다.
시는 창신동 지역 특성을 반영해 구릉지 등 제약사항은 극복하고 역사·경관적 가치는 살릴 방침이다. 우선 열악한 도로를 개선하고 교통체계를 대대적으로 정비한다. 대상지를 남북으로 관통하는 창신길의 폭을 넓히고, 동쪽 지봉로와 서쪽 율곡로를 잇는 연결도로를 설치하기로 했다.
보행환경도 대폭 개선한다. 시는 서쪽 한양도성과 대상지, 채석장전망대와 창신역, 숭인근린공원까지 이어지는 900m 규모의 입체 보행로를 설치할 예정이다. 구릉지형에 맞춰서 육교와 엘리베이터도 연계한다. 또 구릉지 위쪽에 있던 노인복지센터와 주민센터 등 공공시설은 창신길이나 종로 이면부 등 하부로 이전하기로 했다.
송태화 기자 alvin@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4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