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과학기술원(KAIST)이 유명 학술지인 ‘네이처’와 함께 인공지능(AI)·신소재 등을 다루는 국제 학술행사를 개최한다.
KAIST는 내년 2월 5~7일 대전 본원 학술문화관에서 ‘2025 네이처 콘퍼런스’를 개최한다고 4일 밝혔다.
행사 첫날인 5일에는 ‘네이처 인덱스’ 관련 정책포럼이 진행되며, 6~7일 열리는 네이처 콘퍼런스에서는 ‘인공지능을 위한 신소재, 신소재를 위한 인공지능’을 주제로 관련 분야의 최신 연구 동향을 공유한다.
앞서 네이처 인덱스는 올해 특집호에서 “한국의 과학기술 분야 연구개발(R&D) 성과는 인력 및 예산 투입 대비 놀라울 정도로 낮다”는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그 원인으로 산학협력 부족 및 출생률 저하에 따른 학생 수 감소, 성별 불균형, 국제협력 부족 등을 꼽았다.
정책포럼에서는 이 같은 상황에 대응할 수 있는 미래 발전방향을 토의하고 위기를 기회로 바꿀 수 있는 방안들을 도출한다. 캐시디 스기모토 조지아텍 공공정책대학원장과 소타로 시바야마 도쿄대 교수, 존 월시 조지아텍 교수, 김보정 KAIST 석좌 초빙교수 등이 참여한다.
네이처 콘퍼런스에는 기조연설자 4명 등 17명의 강연자, 네이처 편집장 4명, KAIST 교수 등 총 25명의 전문가가 참여한다.
기조강연은 크리스틴 페르손 캘리포니아대 교수의 ‘소재 과학을 위한 데이터 기반의 패러다임 활용하기’를 시작으로 미셸 시몬스 뉴사우스웨일즈대 교수, 우화창 칭화대 교수, 앤디 쿠버 영국 리버풀대 교수 등이 맡는다.
이어지는 발표 주제는 AI 하드웨어, 신소재 개발을 위한 AI 도구들, 자율 주행 실험실 소재 기술, 신소재 개발 자율 로봇 등이다.
논문 초록 접수자 가운데 KAIST·네이처가 선정한 우수자는 발표 기회를 얻을 수 있으며 콘퍼런스 마지막에 최우수상을 시상한다. 참석자 간 네트워크 형성을 위해 네이처 편집자 4명과 KAIST 교수진 등의 면담도 진행될 예정이다.
콘퍼런스는 모두 영어로 진행되며 재료과학·물리학·화학 분야 연구자나 산업 종사자라면 누구나 참가할 수 있다. 등록비는 일반인 800달러(조기등록 700달러), 학생 350달러(조기 등록 250달러)다.
조기 등록 마감일은 이달 8일이며 최종 등록 마감은 내년 1월 31일까지다. 참가 등록은 네이처 콘퍼런스 홈페이지에서 가능하고 문의는 KAIST 신소재공학과 행정팀으로 하면 된다.
신병하 KAIST 신소재공학과 학과장은 “미래 신소재 연구방법론을 고민하는 연구자와 학생에게 새로운 동기부여의 장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대전=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