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거래소를 통한 금 거래대금이 지난달 기준으로 이미 지난해 연간 규모를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지정학적 위험과 미국 대선 결과에 대한 불확실성에 안전자산으로 여겨지는 금 투자 선호도가 높아진 영향이다.
3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올해 들어 지난달까지 금 거래대금은 1조9634억원으로 지난해 연간 거래대금(1조1286억원)을 넘어섰다. 거래량도 18.395t으로 지난해(13.792t) 수준을 훌쩍 뛰어넘었다.
지난달 하루 평균 금 거래대금은 232억원으로 1월 대비 344% 증가했다. 특히 10월 23일은 하루 거래대금이 501억원으로 거래소 금 시장이 개장한 2014년 3월 24일 이후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지난달 하루평균 금 거래량은 187㎏으로 1월(60㎏)보다 3배 이상 늘었다.
이에 거래소에서 금 가격은 지난달 말 기준 1g당 12만7590원으로 연초(8만6940원) 대비 47% 급등했다.
투자자들이 금을 찾는 이유는 금융시장 불안감을 높이는 일들이 전 세계적 곳곳에서 진행되고 있어서다. 거래소는 중동 지역 갈등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 지정학적 리스크가 확대되고 미국 대선 결과에 대한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금이 투자자의 선택을 받고 있다고 분석했다. 또 미 연방준비제도(Fed)가 금리 인하를 시작하면서 미국 달러 헤지 수단으로도 금이 활용되고 있다.
거래소에서 금을 거래하는 투자 주체로는 개인이 43%로 가장 비중이 높았다. 증권사 금 거래 계좌는 2021년 88만개에서 지난 6월 말 120만개를 돌파했다. 다음으로 기관(37%)과 실물사업자(19%) 순이었다.
이광수 기자 gs@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