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집권 자민당 총재인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가 27일 열린 중의원(하원) 선거를 앞두고 지원 연설을 나선 지역구에서 후보자 80% 이상이 낙선한 것으로 전해졌다. 석패율제를 활용해 구제된 후보를 포함해도 60% 이상이 떨어졌다. 이시바 총리가 당내 기반이 전무한 상황에서 국민적 인기에 대한 기대로 총리가 됐다는 점을 고려하면 개인 인기가 ‘과대평가’됐다는 지적이 나온다.
28일 산케이신문에 따르면 이시바 총리가 중의원 선거 기간 동안 지원 연설에 나선 여당 지역구 후보 76명 중 지역구에서 당선된 의원은 13명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63명은 지역구에서 낙선했고 이 중 19명만이 비례대표 중복 입후보를 통한 석패율제로 생환할 수 있었다. 최종적으로 44명이 낙선한 셈이다.
이시바 총리는 선거전 첫날부터 후쿠시마현을 시작으로 홋카이도, 가고시마현 등 총 27개 도도부현(광역자치단체) 내 접전·열세 지역구 위주로 돌았다. 이동 거리만 총 14만㎞에 달할 정도로 강행군이었다.
당내 기반이 약한 이시바 총리로선 개인적 인기를 통해 접전·열세 지역구 의원을 당선시켜 세력을 강화하려 했던 것으로 풀이된다. 산케이신문은 “총리의 강점으로 여겨진 국민적 인기에 물음표가 붙는 결과”라며 “선거전에서 접전이나 열세의 후보자를 승리로 이끌 수 있으면 구심력이 향상될 호기이기도 했지만 결과적으로 승부처에서 약하다는 점만 드러냈다”고 평가했다.
이를 두고 이시바 총리 스스로 자초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그는 선거전 내내 ‘말 바꾸기’ 논란으로 지지율이 하락세를 탔다. 지난달 자민당 총재 선거 때만 해도 10월 조기 해산에 부정적 입장을 피력했다. 하지만 총재 당선 직후 허니문 효과를 노리고 해산을 선언하며 ‘변절’이라는 비판을 받았다.
야당을 상대로는 ‘정적’ 아베 신조 전 총리가 즐겨쓰던 표현을 활용해 “악몽과 같은 민주당 정권”이라며 맹비난했다. 이시바 총리는 2019년 이를 두고 “과거 정권을 예로 들며 자신들이 옳다는 식의 태도는 위험하다”고 비판한 적이 있었던 만큼 비판이 나왔다.
수차례 비판해왔던 비자금 스캔들과 관련한 대응도 ‘솜방망이’ 처분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연루 의원들에 대해 원칙적 공천 방침을 밝혔다가 여론의 거센 역풍에 철회하고 일부만 무공천했다. 선거 막판 비자금 스캔들로 공천을 받지 못한 후보들이 있는 지부에도 2000만엔을 지급했다는 논란은 결정타였다. 이시바 총리는 이를 ‘음모론’으로 취급하며 문제없다는 태도를 보여 빈축을 샀다.
막판 이시바 총리의 지원을 받은 한 후보는 “총리의 응원으로 탄력을 받았다고 생각했지만 2000만엔 문제는 치명적이었다”고 토로했다.
선거 결과로 인해 이시바 총리에 대한 지지가 기대보다 약하다는 사실이 입증된 만큼 책임론이 연이어 분출할 것으로 전망된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비주류에선 과반 미만이면 이시바는 사퇴해야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며 “내년 도쿄도의회 선거와 참의원 통상 선거가 다가올수록 교체론은 더욱 거세질 수 있다”고 전했다.
김이현 기자 2hyun@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