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2일 부산시청에서 열린 국회 행정안전위원회의 부산시 국정감사에서는 2030부산세계박람회(엑스포) 유치 실패와 부산시 산하 공공기관의 인사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주요 쟁점으로 떠올랐다.
야당 의원들은 부산엑스포 유치 실패에 대해 정부와 부산시의 전략 부재를 강하게 비판했다. 특히 국내 홍보에 지나치게 많은 예산이 투입했지만, 실제 표결에 영향을 줄 해외 홍보는 소홀했다는 지적이 나왔다.
더불어민주당 박정현 의원은 "엑스포 유치가 실패할 수는 있지만, 득표 결과는 예상보다 훨씬 저조했다"며 "정부와 부산시가 국민과 시민을 우롱한 것 아닌가 하는 의문이 든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같은 당 이해식 의원은 "BIE(국제박람회기구) 179개 회원국이 투표하는데, 왜 국내 홍보비를 더 많이 썼는지 의문이다"라며 유치 전략의 문제점을 꼬집었다.
이에 대해 박형준 부산시장은 "결과적으로 시민들에게 사과드렸지만, 사우디아라비아의 막강한 자본력과 정치적 네트워크를 고려해야 한다"고 답변했다. 그는 이어 "엑스포 유치 과정에서 부산의 브랜드 가치를 높였고, 150개국의 정상급 인사들이 부산을 방문하며 얻은 것도 많다"고 강조했다.
엑스포 유치 실패에 대한 비판에 대해 여당 의원들은 부산시의 입장을 옹호했다. 국민의힘 이성권 의원은 "엑스포 유치 도전은 여야를 떠나 모두가 함께했던 일"이라며 "유치 실패 후 민주당이 태도를 180도 바꾸고 정쟁으로 몰고 가고 있다"고 반격했다.
같은 당 조승환 의원은 "해외 홍보 부분은 민간이 주도하는 방식으로 진행됐으며, 부산시는 국내 붐 조성에 집중할 수밖에 없었다"며 부산시의 입장을 두둔했다.
국감에서는 부산시 산하 공공기관 감사 인사에 대한 비판도 이어졌다. 야당 의원들은 시장 선거 캠프 출신 인사들이 주요 기관의 감사로 임명된 것에 대해 전문성이 부족하고 정치적 낙하산 인사라는 의혹을 제기했다.
박 시장은 이에 대해 "가치와 철학을 공유하는 인물을 등용했다"며 "이들이 부산 발전을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해명했다.
또 부산시가 추진 중인 ‘YS 민주주의 역사기념관’ 건립과 관련해 명칭 변경 과정에서 시민들의 의견이 충분히 반영되지 않았다는 지적도 나왔다. 더불어민주당 김성회 의원은 여론조사에서 시민들의 50.1%가 '민주주의 미래관'을 선호했음에도 불구하고 기념관 명칭을 YS 기념관으로 변경된 배경에 대한 의혹을 제기했다. 이에 대해 박 시장은 "광주에 김대중 기념관이 있듯이, 부산에도 김영삼 기념관이 있는 것이 자연스럽다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박 시장은 이어 "YS 기념관이라고 하지만, 부산의 부마 민주항쟁을 비롯한 부산 민주주의 역사를 오롯이 담을 수 있는 기념관이며, 개인 기념관은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이날 국감에서는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피습 후 헬기 이송된 문제를 둘러싸고도 질의가 이어졌다. 국민의힘 정동만 의원은 헬기 이송에 과도한 의료 자원이 낭비된 것이 아니냐는 비판을 제기했다. 이에 대해 박 시장은 "지역 의료에 대한 불신 또는 이 대표 본인의 필요에 의해 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부산=윤일선 기자 news8282@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