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덴마크의 조립형 장난감 제조업체 ‘레고’가 2032년까지 자사 제품에 들어가는 재료를 재생 가능하거나 재활용한 친환경 플라스틱으로 전부 대체하겠다고 밝혔다.
CNN, USA투데이 등 외신은 레고가 28일(현지시간) 이 같은 친환경 기조 강화 정책을 발표했다고 보도했다.
이 계획에 따르며 레고는 2026년까지 블록 생산량의 절반가량을, 2032년까지 전체 블록을 친환경 소재로 대체한다.
기존의 레고 블록 제조에 사용하던 원유 소재를 재생 가능한 수지로 점차 대체해 원유 사용량을 줄이겠다는 목표다.
레고는 이번 친환경 전환 시도로 최소 70%이상의 생산비용 증가가 발생할 것으로 추산되지만, 제품 가격 인상 등 소비자에게 비용을 전가하지는 않을 방침이라고 강조했다.
닐스 크리스티안센 레고 최고경영자(CEO)는 “지속 가능한 재료로의 전환은 생산비용 증가를 의미한다”면서도 “회사가 이에 대한 부담을 감수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그는 “우리는 소비자들이 (친환경 제품을 위해) 더 비싼 비용을 지불할 의사가 있는지 알 수 없다”며 “지속가능성을 중시하는 오너 일가 덕분에 고객에게 추가 비용을 청구하지 않고도 (친환경 정책을) 추진할 수 있는 건 큰 행운”이라고 말했다.
레고는 원유 기반의 플라스틱 소재를 대체할 신소재를 자체 개발하는 과정에서 600가지가 넘는 원자재를 테스트한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는 전체 블록의 22%가량을 폐식용류 재활용 플라스틱으로 생산하고 있다.
지난해에도 레고는 2025년까지 지속가능성을 위한 지출을 세 배로 늘리고, 이를 소비자에게는 전가하지 않겠다고 약속한 바 있다.
레고의 올해 상반기 매출은 13% 증가한 310억 크로네(약 3조9497억원)로 집계됐다. 영업이익은 26% 증가한 81억 크로네(약 1조320억원)로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천양우 인턴기자 onlinenews1@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