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 고수온 대응 품종 연구로 미래 양식 전환 추진

Է:2024-08-27 11:19
ϱ
ũ

경남해역 수온 30℃까지 ↑…아열대 품종 개발 본격 착수
도 수산자원연구소 아열대 어종 연구 양식어종 연구 추진

경남도수산자원연구소 연구원이 능성어 수정란을 채취하고 있는 모습. 경남도 제공

경남도는 계속된 폭염으로 도내 해수온이 최고 30℃까지 상승하는 등 고수온으로 인한 양식생물의 피해 최소화를 위해 고수온 대응 품종 연구로 근본적 대책 수립에 나선다고 27일 밝혔다.

도는 지난 16일 거제 피해 신고를 시작으로 통영, 거제, 남해 등 경남 양식어류 밀집 지역 곳곳에서 폐사가 발생하고 있어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근본적인 대응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설명했다.

도내 어류 양식은 조피볼락(우럭)과 참돔 위주이며, 특히 고수온에 취약한 조피볼락이 전체 어류 양식의 46%를 차지한다.

이에 도에서는 고수온에 대한 근본적 대책으로 벤자리 등 아열대 양식 신품종 개발·보급과 참돔 등 우량종자 개발, 조피볼락, 굴 등 주요 양식품종의 육종연구 추진 등 수산자원연구소를 중심으로 고수온 대응 품종 연구를 적극 추진하고 있다.

먼저 능성어는 2017년부터 수정란 대량 생산이 가능해 체계적인 관리를 통해 전국 능성어 수정란 소요량의 80%이상을 보급하고 있다.

올해도 경남의 어류 종자생산 어가 18곳에 능성어 수정란 5300만 알을 분양, 2017년부터 현재까지 3만200만 알을 공급해 점차 품종 전환을 지원하고 있다.

참돔은 성장, 질병 등 육종 개발을 위해 선제적으로 2022년 국립수산과학원 육종연구센터(거제)와 연구 협약 체결, 1세대 우량종자를 생산·연구 중이다.

아열대 품종인 벤자리와 잿방어는 지난해부터 연구를 시작해 특히 벤자리는 국립수산과학원 아열대수산연구소(제주)와 공동으로 연구해 현재 종자 5만 마리 생산에 성공했다.

중간어 가두리 월동시험과 함께 친어를 추가로 확보해 내년부터 어업인에게 수정란을 보급하고, 잿방어는 2027년부터 어업인들에게 보급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올해를 주요 양식품종 육종연구의 원년으로 삼고 조피볼락, 숭어, 참돔, 굴, 가리비 등 5종에 대한 본격적인 품종개량 연구에 착수했다.

고수온과 질병에 강하면서 성장은 빠르도록 품종을 개량해 아열대화되는 바다에 잘 적응하는 신품종으로 개발하는 등 기후변화에 대응하고 있다.

올해 고수온 등 대응 품종 연구를 위해 육종 담당을 신설했으며, 향후 ‘경남도 수산육종연구센터’로 조직을 강화해 도내 전문 연구 기반을 구축하고 어업인들에게 고수온에 강한 품종(어·패류)을 보급할 계획이다.

조현준 경남도 해양수산국장은 “연안환경 변화에 대응해 산업화가 가능한 다양한 아열대 품종 연구와 양식품종 개량이 중요하다”며 “연구 중인 품종이 어업인의 소득 창출에 기여 되도록 연구역량을 집중해 양식품종 전환을 통해 고수온 피해 최소화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창원=강민한 기자 kmh0105@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
Ϻ 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