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지역 열대야가 27일 이어지는 등 기록적인 폭염이 이어지면서 온열 질환 추정 사망자가 23명 발생했다.
17일 질병관리청의 온열 질환 응급실 감시체계에 따르면 지난 16일 온열 질환자는 43명 발생했다. 올해 감시체계가 가동된 5월 20일부터 전날까지 누적 온열 질환자는 2704명으로 늘었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3.8% 많은 수준이다.
일일 온열 질환자는 지난 11일 58명에서 12일 113명으로 급증했다. 13일 이후로는 4일 연속 줄어들고 있다. 그러나 충남지역에서 온열 질환 추정 사망자가 추가로 발생하면서 올여름 온열 질환 사망자는 23명이 됐다.
온열 질환자의 77.6%는 남자였다. 연령별로는 50대(18.7%), 60대(18.5%), 40대(14.2%) 순이었다.
온열 질환은 주로 오후 2~3시(10.7%), 오후 3~4시(10.5%), 오전 6~10시(10.6%) 등의 시간대에 발생했다. 발생 장소는 작업장(31.3%), 논밭(15.0%) 등 실외가 대부분이었다.
피부가 창백해지고 무력감, 피로, 근육경련, 메스꺼움 등의 증상을 보이는 열탈진(55.3%) 질환이 가장 빈번하게 발생했다. 그 외 열사병(21.1%), 열경련(13.9%) 등을 호소한 질환자도 다수였다.
폭염이 장기화하면서 온열 질환자 발생은 한동안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통상 더위는 광복절과 절기상 처서를 지나면 꺾이는 추세를 보여왔다. 그러나 올해는 폭염과 열대야가 광복절 이후에도 계속되고 있다. 이에 올해 처서(22일) 이후에도 기온이 떨어지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기상청은 오는 26일까지 최저 24~26도·최고 30~34도의 기온 분포를 보일 것으로 예상했다.
권민지 기자 10000g@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