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외국인 계절근로자와 농촌일손돕기 인력 등이 마늘·양파·감자 수확, 벼 육묘 등 농작업에 투입돼 도내 농촌인력 부족 해소에 도움이 된 것으로 나타났다.
경남도는 올해 상반기 농촌에 일손 부족을 해소하기 위해 농작업 인력 연인원 35만여 명을 공급해 봄철 농번기 적기 영농을 차질 없이 마쳤다고 29일 밝혔다.
올해 상반기 투입된 전체 인력은 외국인계절근로자 15개 시·군 21만7140명, 농촌인력중개 21개 11만6703명, 지자체와 민간의 농촌일손돕기 1만5683명, 농기계작업반 820명 등 모두 35만346명이 투입됐다.
도는 올해 농업 인력수급 대책을 통해 추산한 일손 부족은 상반기 35만 명, 하반기 36만 명 등 71만 명으로 예상, 외국인계절근로자의 증가 추세에 따라 상반기에 실제 35만여 명이 투입돼 안정적인 인력공급으로 농가의 일손 부족을 메운 것으로 분석했다.
농업분야 외국인계절근로자는 기본 5개월, 연장 3개월 등 최대 8개월을 고용할 수 있으며 법무부로부터 올해 상반기에만 15개 시·군에 4190명을 배정 받아 1418농가에서 농작업을 했다.
또 외국인계절근로자의 투입으로 농가가 부담하는 인건비는 8~10만원으로 시중 일당 12~15만원에 비해 20~30% 정도의 인건비를 절감해 인건비 상승 억제로 농가의 경영비 개선까지 이어진 것으로 파악됐다.
또 내국인 인력중개를 전담하는 농촌인력 중개센터는 15개 시·군에 21개를 운영하고, 도시의 유휴인력을 농작업 인력으로 연결해 농번기에 힘을 보탠 것으로 나타났다.
도는 농촌일손 부족을 대체할 외국인계절근로자의 비중이 계속 높아질 것으로 보고 농가형 배정확대와 공공형 운영확대(4개→7개), 농업근로자 기숙사 확대(5개→9개)등을 지속 지원할 계획이다.
성흥택 경남도 농업정책과장은 “외국인계절근로자의 증가에 따라 이들의 농작업 참여 범위를 작물 재배·생산에서 1차 선별·가공까지 확대를 법무부에 건의한 상태”라며 “하반기에도 다양한 농업인력 수급 방안을 마련해 수확기 농촌일손 부족에 대응 하겠다”고 밝혔다.
창원=강민한 기자 kmh0105@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