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비판이 쏟아지고 있는 검찰의 윤석열 대통령 부인 김건희 여사 소환조사 방식에 대해 “김건희 특검은 이제 ‘외길’”이라고 못을 박았다.
김 지사는 22일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윤석열 정부에서 주가조작-디올백 수수 사건의 진실을 밝힐 수 있는 유일한 길은 특검뿐이라는 것을 검찰이 직접 증명해 주었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서울중앙지검 수사팀은 지난 20일 김 여사를 검찰청사가 아닌 대통령 경호처가 관리하는 부속 청사로 소환해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연루 의혹과 명품백 수수 의혹 등에 대해 대면조사 했다. 특히 이 과정에서 서울중앙지검은 김 여사에 대한 조사를 대검찰청에 사전에 보고하지 않고 사후 보고해 ‘검찰총장 패싱’ 논란이 불거졌다.
이에 대해 김 지사는 “‘피의자’ 김건희 여사가 오히려 검찰을 소환했다”며 “피의자에게 호출돼 ‘원정 조사’를 떠난 검찰이 정작 검찰총장에겐 사후 통보했다”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김 지사는 “언제부터 대한민국 검찰이 총장을 패싱하고 피의자가 오라면 오고, 가라면 가는 조직이었냐. 국민 앞에 부끄럽지도 않느냐”고 맹비판하며 “이원석 (검찰)총장에게는 거취를 결단할 때라는 충고를 주고 싶다”고 말했다. 이어 “박근혜 정부 때 국무조정실장 자리를 사표 내고 나왔던 경험에서 주는 충언”이라고 덧붙였다.
김 지사는 박근혜 정부 때 장관급인 국무조정실장을 지내다가 2013년 8월쯤 비선 라인의 실체를 알게 돼 사표를 낸 바 있다. 당시 김 지사는 박근혜 정부의 문고리 3인방 중 1명인 정호성 대통령 비서실 부속비서관이 대통령의 메시지는 물론, 각 부처에서 올라온 보고까지 사전 검열한 사실을 알고 사표를 냈다.
수원=강희청 기자 kanghc@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