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주 쓰레기소각장과 반려동물 장묘시설 입지 선정이 난항에 빠졌다. 여전한 님비(NIMBY)현상으로 일상생활에 꼭 필요한 도시인프라 확보가 제자리걸음이다.
18일 광주시에 따르면 지난달 자원회수시설(쓰레기소각장) 입지선정위원회가 후보지로 압축한 매월동, 장등동, 삼도동 3곳 주민들이 일제히 집회를 열거나 반대의견서를 제출하는 등 반발하고 나섰다.
‘매월동 쓰레기 소각장 반대 비상대책위원회’는 17일 광주시청 앞에서 집회를 열고 “매월동을 후보지에서 제외해달라”고 요구했다.
이들은 “고도제한으로 인해 45m 이하로 소각장 굴뚝이 설치될 수밖에 없어 매월동뿐 아니라 서창동, 금호동까지 매연 등의 피해가 볼보 듯 뻔하다”며 “주민설명회도 거치지 않은 일방적 소각장 추진을 철회하라”고 주장했다.
장등동 비상대책위도 이날 광주시청 앞에서 반대시위를 갖고 “이미 변전소, 쓰레기매립장 등 혐오시설이 많은 데 오염물질 배출과 하루 350대의 쓰레기 수거차가 오가는 소각장까지 떠안아야 하느냐”고 목소리를 높였다.
앞서 삼도동 비상대책위는 지난주 광주시에 반대 의견서를 제출했다. 이들은 “빛그린산단과 미래 자동차 국가산단 활성화에 걸림돌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시는 2030년 쓰레기 직매립 금지조치에 대비해 하루 생활폐기물 650t 소각처리 용량을 갖춘 최소 6만6000㎡ 면적의 소각장 건립을 추진 중이다. 지하에 친환경 소각시설을 설치하고 지상에는 레저·복지시설 등을 갖춘 명품공원을 조성해 랜드마크로 삼는다는 구상이다.
하지만 우여곡절 끝에 선정한 3곳 후보지 주민들이 벌써 반발 수위를 높여 차질을 빚게 될 공산이 커지고 있다.
반려동물 장묘시설 역시 당초 현재 건립을 추진 중인 ‘반려동물복지지원시설’에 포함하기로 했으나 주민 반대에 밀려 백지화됐다. 시는 2028년까지 입양·문화센터 등을 갖춘 반려동물 복지시설을 단계별로 조성하기로 했으나 이를 포기하고 장기 과제로 전환한다고 밝혔다.
시는 동물 장묘 시설이 한 곳도 없어 반려동물을 키우는 시민 불편이 크다는 현실을 감안해 한동안 공공 장례시설 건립을 검토했지만 ‘지자체가 이를 수행할만한 법적 근거가 불명확하다’는 이유를 들어 한 걸음 물러섰다.
이로 인해 시민들은 전남 등 다른 지역 업체를 하염없이 오가야 하는 시간적 경제적 부담을 장기간 감수해야 될 처지에 놓였다.
시민단체 관계자는 “공동 이익을 위한 기반시설 조성은 소통·신뢰를 전제로 실행해야 할 지자체 중요 임무”라며 “주민 의견을 적극 수렴하고 세금감면, 복지시설 건립, 환경개선 사업 등으로 반대여론을 줄여가는 과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