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홍콩H지수(항셍중국기업지수) 주가연계증권(ELS) 관련 투자자 손실 규모가 가장 큰 KB국민은행과 신한은행이 29일 이사회를 열고 자율 배상 방침을 확정했다. 하나은행에선 투자자와 합의해 배상금을 지급하는 첫 사례가 나왔다.
이날까지 자율 배상 방침을 결정한 건 하나·우리·NH농협·SC제일·씨티은행 등까지 7곳이다. H지수 ELS 판매 주요 시중은행의 방침이 정해짐에 따라 각 은행별로 금융감독원 기준안을 따른 고객과의 협상이 본격화했다.
KB국민은행 관계자는 이사회 직후 “투자자들의 불확실성 해소와 신뢰 회복을 위해 만기 손실이 확정되거나 현재 손실 구간에 진입한 투자자들을 대상으로 신속히 보호 조치를 실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신한은행 관계자도 “금융감독원 기준안에 따라 기본 배상 비율을 정하고, 사실관계 확인을 거친 뒤 투자자별 고려 요소를 반영해 최종 배상 비율을 산출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KB국민은행과 신한은행 모두 전문가들로 자율조정협의회를 구성해 배상 절차를 진행한다. 바로 다음 달부터 고객들에게 배상내용, 절차 등을 안내하고 배상 비율 협의가 완료된 사례부터 배상금을 지급할 예정이다.
지난 27일 이사회에서 자율 배상안을 의결한 하나은행은 이날 배상금 지급을 완료한 첫 사례가 나왔다고 밝혔다. 하나은행은 “일부 투자자들과 원만한 합의가 이뤄져 은행권 최초로 배상금 지급이 이뤄졌다”면서 “앞으로도 손실 확정된 투자자들의 배상비율을 빠르게 확정해 신속히 배상금이 지급되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은행권의 배상 규모는 H지수 ELS 손실이 확정된 2021년 1∼7월 판매분(2024년 1∼7월 만기 도래분)을 중심으로 손실·배상 규모를 따질 경우 최소 약 2조원에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
은행은 대부분 이 배상 추정액을 올해 1분기 대차대조표상 충당부채, 손익계산서상 영업외비용 항목에 반영할 예정이다.
조민영 기자 mymin@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