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로 건설업계 연쇄 부도를 우려하는 ‘4월 위기설’을 재차 일축했다. 사업성이 낮은 사업장은 경·공매를 통해 정리하거나 사업성을 제고하는 방식으로 정상화가 가능하다는 취지다.
금감원은 21일 금융권, 건설업계와 부동산 PF 정상화를 위한 간담회를 열고 정상화가 가능한 사업장에 대한 지원 방안을 논의했다. 이 원장은 “상반기 내에 시스템 리스크가 작동할 만큼 건설사들의 유동성 위기가 현실화할 가능성은 극히 낮다”며 “소위 ‘4월 리스크’에 대해서는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고 말했다. 금감원은 정부 당국과 PF 정상화 방안을 논의해 다음 달 중 사업성 평가 기준과 대주단 협약 개정안 등을 발표하고, 3분기부터 실행에 나선다는 구상이다.
금감원은 사업성이 낮은 PF 사업장은 재구조화를 통해 정상화가 가능하다고 사례를 통해 설명했다. 실제로 대전에 물류센터를 짓기로 예정했던 한 사업장은 물류센터 공급 과잉과 업황 부진으로 총사업비가 기대 매각가를 웃돌아 사업 추진에 어려움을 겪었다. 해당 사업장은 사업 용도를 물류센터에서 데이터센터로 인허가를 변경하는 작업을 추진하고 있다. 계획대로 물류센터를 짓는다면 163억원의 적자가 예상되지만, 데이터센터로 바꾼 뒤에는 300억원 흑자가 기대된다.
건설업계는 정상화가 가능하다고 판단되는 사업장에 대해서는 금융권의 PF 자금 공급이 확대돼야 한다고 요구했다. 특히 정상화를 추진하는 사업장에 대해서는 과도한 금리나 수수료를 부과해선 안 된다고 강조했다. 이 원장은 “본질적으로는 리스크에 대한 판단이 정확히 안 되다 보니 이자와 수수료가 높아지는 것”이라며 “대출 연장이 가능한 사업장은 장기로 차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비용을 떨어뜨릴 수 있게 하겠다”고 말했다.
금감원은 부실 사업장의 매수 기반을 확충하기 위해 금융권에 정상화 지원 펀드 조성 규모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당부했다. 여전업권은 4월 중 약 2000억원 규모, 저축은행 업권은 757억원 규모의 펀드를 추가로 조성하는 안을 추진하고 있다.
심희정 기자 simcity@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