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여정 북한 노동당 부부장이 지난해 9월 러시아 방문 당시 들었던 명품 추정 가방의 진품 여부를 규명하기 위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대북제재위원회와 크리스찬 디올 측이 서신을 주고 받은 것으로 파악됐다.
유엔 안보리가 2006년 대북 사치품 금수 조치를 결의한 이후 고가의 시계, 보석, 명품, 주류, 고급 자동차 등의 대북 유입은 금지돼 있다.
대북제재위 전문가 패널이 20일(현지시간) 펴낸 연례 보고서는 지난해 9월 김 부부장이 오빠인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함께 러시아 전투기 공장을 찾았을 때 들고 있던 검은색 가방과 관련해 디올과 서한을 주고 받았다고 전했다.
북한 매체가 배포한 사진을 봤을 때 김 부부장이 들고 있던 가방이 프랑스 명품 브랜드인 디올의 제품으로 추정된다는 언론 보도가 나온 게 발단이었다.
이에 대북 제재위는 안보리 대북 제재 결의 내용인 사치품의 대북 수출 금지 규정을 위반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지난해 10월 16일 디올 측에 서신을 보냈다.
서신에는 가방이 디올 정품인지 여부와 모델명, 북한으로 제품이 공급되는 경로를 알고 있는지 등 4개의 질문이 담겼다.

디올은 그 다음달 16일 “우리 핸드백 모델인 것으로 강하게 추정되는데 진품인지 확인이 어렵다”고 답했다.
이어 “사진 상으로 2019년 2월 처음 출시된 모델로 추정된다”며 “상시 판매 컬렉션 중 하나로 전세계에서 판매되며 유럽과 미국에서 인기가 있다”고 덧붙였다.
디올 제품의 대북 공급 네트워크에 대한 제재위의 질문에는 “사치품의 대북 판매·이전 등의 금지 규정을 준수하고 있다. 공급 네트워크는 모른다”고 답신했다. 또 북한 인사가 해당 제품을 어떻게 획득했는지 경로 역시 알 수 없다고 전했다.
디올 측은 이와 함께 제재 규정을 준수하려는 노력에도 불구하고 재판매 형식으로 이전되는 것까지 완전히 통제할 수 없다고 한계를 토로하기도 했다.
김효빈 인턴기자 onlinenews1@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