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돌싱남들이 재혼 상대 특징으로 가장 비선호하는 것은 ‘꿍한 성격’과 ‘사치 성향’인 것으로 조사됐다.
18일 재혼정보회사 온리-유와 결혼정보업체 비에나래는 전국 황혼·재혼 희망 돌싱남녀 51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에 따르면 ‘외모(남), 경제력(여)이 아무리 뛰어나도 재혼 상대로 부적격인 성격 유형은 어떤 것일까’라는 질문에 대해 남성의 경우 ‘꿍한 성격’(29.6%)와 ‘사치 성향’(26.8%)을 꼽았다. ‘부정적 성향’(20.6%) ‘예민한 성격’(15.2%) 등이 뒤를 이었다.
여성의 경우 ‘욱하는 기질’(33.1%)을 가장 선호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정적 성향’(25.7%) ‘예민한 성격’(19.8%) ‘꿍한 성격’(12.5%) 등이 2~4위를 차지했다.
‘재혼 맞선에서 어떤 부류의 이성을 만나면 배우자감으로 적합한지 헷갈릴까’라는 질문에는 남성의 36.6%가 ‘교태형’이라고 답했다. 반면 여성은 ‘헌신형’을 꼽았다.
남성은 헌신형, 과신형, 침묵형이라는 응답이 각각 28.4%, 22.9%, 12.1%를 차지했고, 여성은 과신형, 침묵형, 교태형이 30.0%, 21.0%, 14.0%로 조사됐다.
‘재혼 상대에게 호감도를 높이기 위해 어떤 방법을 주로 활용하냐’는 질문에서도 남녀 간 응답이 엇갈렸다.
남성은 ‘골프 등 취미활동’이라고 답한 이들이 31.5%로 가장 많았다. ‘집으로 초대’(28.0%) ‘상대 가족에 관심’(21.0%) ‘애칭 사용’(12.5%) 등이 뒤따랐다.
반면 여성은 33.5%가 ‘집 밥 대접’이라고 응답했다. ‘애칭 사용’(27.2%) ‘골프 등 취미활동’(17.5%) ‘상대 가족에 관심’(13.2%) 등 응답이 뒤를 이었다.
손동규 온리-유 대표는 “재혼 상대를 찾을 때는 100가지 장점이 있어도 치명적인 단점이 한 가지라도 있으면 재혼으로 연결되지 못할 때가 많다”며 “자신의 성격이나 가치관, 생활 자세 등을 이성의 관점에서 객관적으로 보고 고칠 것은 고치고 절제할 부분은 절제해야 성혼으로 이어질 뿐 아니라 재혼 후 부부 생활도 원만할 수 있다”고 조언했다.
김지훈 기자 germany@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