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의 의대 증원에 반발해 전공의들이 병원을 떠난 데 이어 의대 교수들도 집단사직을 결의한 가운데 환자 생명을 볼모로 한 집단행동을 경계하는 의료계 내부 비판에도 불구하고 의료 현장의 ‘대혼란’이 가시화하고 있다.
18일 의료계에 따르면 서울의대 교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는 이날 오후 5시 서울대병원과 분당서울대병원, 보라매병원을 온라인으로 연결해 총회를 열고 사직서 제출 시기를 논의한다. 이들은 지난 11일 정부가 이날까지 사태 해결을 위한 방안을 도출하지 않으면 자발적인 사직서를 제출하기로 결의한 바 있다.
그러나 다음 날인 12일 서울의대 교수협 비대위 등이 포함된 ‘전국 의과대학 교수 비상대책위원회’가 꾸려졌고, 이들은 지난 15일 회의에서 사직서 제출 시기를 오는 25일로 합의했다. 전국 의대 교수 비대위원장은 방재승 서울의대 교수협 비대위원장이 맡고 있다.
이에 따라 서울의대 교수협 비대위는 예정대로 사직서를 제출할지, 전국 의대 교수 비대위의 일정에 맞출지 등을 이날 회의서 논의할 예정이다.

의대 교수들의 사직서 결의는 전국으로 확산하고 있다. 지난 15일 전국 의대 교수 비대위 회의에는 20개 의대가 참여해 그중 16곳이 사직서 제출을 결의했다. 나머지 4곳은 내부 의견 수렴 과정을 거쳐 동참 여부를 결정할 계획인데, 가결될 가능성이 크다. 회의에 참석한 의대 외에 다른 의대로 이런 움직임이 퍼질 여지도 적지 않다.
의대 교수들은 사직서를 제출하더라도 수리될 때까지 현장에서 환자 곁을 지키겠다고 밝혔지만 현장은 이미 ‘최악의 상황’을 우려하고 있다. 전공의에 이어 교수들마저 병원을 떠날 경우 환자들의 피해는 일파만파 커질 수 있고 말 그대로 ‘의료대란’이 발생할 수 있다.

의료계 내부에서조차 의대 교수들이 집단행동에 더 신중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터져 나왔다. 주영수 국립중앙의료원장은 전날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선배 의사들이 전공의들의 집단사직을 옹호하는 건 적절치 않다면서 의대 교수들이 환자 곁을 떠나겠다고 밝힌 데 대해 유감을 표했다.
그는 “의사들이 ‘좌시하지 않겠다’ ‘사직하겠다’는 건 진료 현장을 떠나겠다는 건데, 환자의 건강과 생명을 볼모로 단체행동을 하겠다는 것과 다를 바 없다”며 “의사 중에서도 가장 정점에 있는 의대 교수님들이 이렇게 얘기하시는 건 절망스러운 상황”이라고 개탄했다.
이어 “(의대 교수들은) 어떠한 일이 있어도 끝까지 대화하고 설득해서 전공의와 정부가 원만하게 해결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권남영 기자 kwonny@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81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