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 연천군에 거주하는 80대 A씨는 인공지능(AI) 노인말벗서비스 이용자다. 3차례 AI전화에 대한 응답이 없자 경기도사회서비스원 직원이 유선으로 연락, 얼마 전 자녀 상을 겪었고 배우자도 치매 증상이 악화하고 있어 심신이 괴롭다는 말을 들었다. 담당 직원은 A씨 배우자는 인근 치매센터에, A씨는 정신건강센터에 연계해 한 달이 지난 후 A씨는 일상생활을 유지할 정도의 회복세를 보였다.
경기도는 지난해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이 같은 AI 노인말벗서비스를 올해는 5000명으로 확대한다고 13일 밝혔다.
AI 노인말벗서비스는 노인 돌봄 사각지대 예방을 목적으로 안부 확인이 필요한 65세 이상 도내 거주 노인들에게 주1회 정해진 시간에 인공지능이 약 3분 간 안부 전화를 거는 서비스다.
전화를 3회 이상 수신하지 않는 경우 당일 경기도사회서비스원 직원이 통화를 시도하고 이 전화도 안 받으면 읍·면·동에 확인해 직접 방문이 이뤄진다.
또 AI 전화 시 ‘살기 어렵다’ ‘외롭다’ 등 정서적·경제적 어려움을 호소하거나 위기 징후가 감지된 경우 전화상담을 진행하고 복지서비스 연계 필요시 경기도 긴급복지 핫라인으로 연결돼 관련 전문 상담을 받을 수 있다.
도에 따르면 지난해 6월부터 1061명의 노인을 대상으로 AI를 활용한 말벗서비스를 시작했다. 총 29주 동안 주 1회 전화 안부가 진행됐고 통화 건수는 2만3852건에 이른다.
올해 서비스는 4월 1일부터 시작될 예정이다.
이달 11일부터 서비스 신청 접수를 시작했으며 서비스 신청은 연말까지 언제든지 할 수 있다.
주민등록표상 1인가구 노인, 기존 돌봄 서비스 미이용자, 기초생활수급자·차상위 등 경제적 위기 노인, 시장·군수가 의뢰한 노인 등은 우선 지원 대상자가 된다.
이은숙 도 노인복지과장은 “AI노인말벗서비스가 도내 어르신들의 고립 문제와 위기 예방에 효과가 있다고 보고있다”며 “경기도가 운영 중인 누구나 돌봄 등에도 연계돼 돌봄 서비스에 대한 만족감이 향상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수원=강희청 기자 kanghc@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