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완수 경남지사가 안덕근 산업부장관을 만나 도내 원전산업 활성화를 위한 3개 현안을 건의하는 등 차세대원전 글로벌 제조거점 육성 지원을 당부했다.
경남도는 22일 도청에서 열린 원전정책 관련 민생토론회 참석을 위해 방문한 안 장관과 박 지사의 환담 자리에서 경남도 원전산업 발전을 위한 현안사업을 적극 건의했다고 밝혔다.
박 지사는 먼저 탈원전 기간 동안 위축된 원전 생태계 경쟁력 강화와 원전 기업의 신산업 진출을 위해 소형모듈원자로(SMR) 제작지원센터 경남 유치를 건의했다.
‘SMR 제작지원센터’는 SMR 기자재 제조용 로봇기술을 활용해 원전 중소·중견기업의 시제품 제작, 공동장비 활용, 공동 연구개발 등을 지원, 원전기업의 제작 역량 강화와 혁신 제조 기술 확보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전망되는 시설이다.
이어 박 지사는 차세대 원전으로 전환하는 글로벌 시장에 선제적 대응을 위해 정부 주도의 ‘원전산업 신성장 미래 기술개발사업’ 예타사업 선정을 건의했다.
‘원전산업 신성장 미래기술 개발사업’은 원전산업의 초격차 기술 확보를 위해 산업부에서 추진하는 대형 예타사업으로 도는 사업 추진 시 도내 원전 중소중견기업의 미래 기술개발 참여와 부품 국산화 등을 통해 경남지역 경제에 큰 활력을 기대하고 있다.
또 원전, 방산 등 주력산업의 수주 증가로 일감이 늘었으나 기업에서는 일할 사람을 구하지 못해 어려움을 겪음에 따라 중앙정부 차원의 ‘중장기 인력수급 대책마련’과 외국인 인력 도입 확대를 건의했다.
특히 노동집약적 제조산업의 비중이 큰 경남의 인력난은 심각한 수준이라고 설명하고, 외국인 인력도입 확대 등 산업인력 해소를 위한 정부 차원의 대책을 적극 건의하고 나섰다.
박 지사는 “지난 정부 탈원전 정책으로 원전산업이 고사 위기였으나 최근 정부의 원전 생태계 복원 정책이 속도를 내면서 정책의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며 경남의 원전산업이 활력을 되찾고 미래 원전시장을 선점할 수 있도록 정부의 적극적 지원을 요청했다.

한편 ‘다시 뛰는 원전산업 활력 넘치는 창원·경남’을 주제로 윤석열 대통령과 안 장관, 박 지사 등이 참석해 열네 번째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가 도청에서 열렸다.
토론회는 원전 중소·중견기업의 청년 직원, 원자력 전공 대학·대학원생, 지역주민 등 100여명이 함께해 원전정책 추진 성과 점검과 원전 최강국 도약을 위한 비전·전략 공유와 ‘글로벌 SMR(소형모듈원전) 클러스터’로 도약하는 창원의 미래를 논의했다.
원자력산업은 지난 1982년 한국중공업(현 두산에너빌리티)이 창원종합기계단지로 입주한 후 국내 최초 원전 주기기국산화가 창원에서 이뤄졌으며 창원국가산단은 한빛 3·4호기 주기기 제작을 통해 지난 1992년 생산액 10조원을 돌파했다.
토론회에서 정부는 원전정책 정상화 노력과 성과를 보고했고, 참석자들은 원전 산업현장에서 느끼는 변화에 대한 생생한 목소리를 전했다. 또 원전산업 정상화를 넘어 질적 고도화를 통해 원전 최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들이 논의됐다.
창원=강민한 기자 kmh0105@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