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1호 광주형 일자리를 실현한 광주글로벌모터스(GGM)가 올 하반기 전기차 양산체제 가동에 앞서 시험생산을 시작했다.
GGM은 “오는 7월 캐스퍼 전기차 양산의 전 단계로 5일부터 본격 시험생산에 돌입했다”고 밝혔다.
시험생산은 전기차 양산체제에 돌입하기 전 마지막 단계다. 실제 수출, 판매할 차량과 똑같은 과정을 거쳐 차를 생산하고 모든 성능과 품질을 점검해 완벽한 품질의 자동차를 만들어내기 위한 마지막 과정이다. 시험생산은 7월 중순 전기차 양산에 들어갈 때까지 이어진다.
GGM은 그동안 전기차 생산 기반시설을 구축하고 시 운전 등을 통해 전기차 생산에 필요한 시스템을 갖췄다. 기존 620여명의 생산인력에 이어 5일부터 채용 공고를 내고 43명의 신규 지역인재 선발에 나서는 등 준비작업을 서두르고 있다.
지난달 15일에는 기아차 광주공장에서 최초로 전기차 생산에 성공하고 공장장을 거쳐 슬로바키아 법인장을 역임한 김석봉 전무를 생산본부장으로 영입했다.
시험생산에 들어가는 캐스퍼 전기차의 가장 큰 특징은 기존 캐스퍼보다 전장(전체 길이)이 25㎝ 길어진다는 점이다. 대용량 배터리를 장착하기 위한 것으로 1회 배터리 충전 시 주행거리가 최대 350㎞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캐스퍼 전기차의 경쟁력을 높이게 될 것이란 분석이다.
유럽 일본 등 54개국 수출에 대비해 오른쪽 핸들 차량도 생산할 예정이다. 디자인은 ‘하이테크’한 외관을 구상해 해외 고객들의 수요를 반영했다.
GGM은 올해 말까지 4만8500대를 생산할 계획이다. 하반기 생산 물량 2만4500여대 중 70%에 해당하는 1만7000대가 전기차가 될 전망이다.
GGM은 전기차 생산과 함께 순조롭게 수출이 이뤄지면 현재 1교대 생산 체계를 2교대로 확대해 전체 생산량을 늘린다는 방침이다.
윤몽현 대표이사는 “전기차 시험생산을 통해 국내 시장을 넘어 세계 시장에서 경쟁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했다”며 “완벽한 무결점 품질을 확보해 캐스터 전기차가 파리 에펠탑 앞을 달리고 일본의 긴자 거리를 누빌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