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부 냉동 치킨 제품의 경우 포화지방과 나트륨을 기준치 이상 섭취할 위험이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프랜차이즈 치킨값 상승으로 냉동 치킨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는 상황에서 적절한 섭취량 조절이 요청된다.
한국 소비자원은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냉동 치킨 10개 제품의 영양성분과 안전성을 시험해 이 같은 결과가 나왔다고 1일 밝혔다.
소비자원은 뼈가 없는 순살 제품과 뼈 있는 제품 5종씩 모두 10개 제품의 영양성분을 조사했다.
그 결과 슈넬치킨이 뼈를 제거하고 먹을 수 있는 부위인 ‘가식부’ 200g당 포화지방 함량(16.6g)과 나트륨 함량(1392㎎) 모두 10개 제품 중 가장 높았다.

소비자원이 냉동 치킨을 구매해 본 사람 1000명을 대상으로 1회 섭취량을 조사한 결과 400∼600g 제품의 반 봉지를 섭취한다는 대답이 37.3%로 가장 많았다. 한 봉지를 다 먹는다는 응답도 26.9%로 2위였다.
이를 고려해 소비자원은 냉동 치킨의 가식부 300g을 섭취할 경우 포화지방 7.5∼24.9g(1일 영양성분 기준치 대비 비율 50∼166%), 나트륨 1122∼2088㎎(56∼104%)을 섭취할 수 있다고 봤다. 제품에 따라 1일 기준치를 초과해 섭취할 수 있다.
예컨대 슈넬치킨의 가식부 300g은 포화지방 24.9g(166%), 나트륨 2088㎎(104%)을 포함하고 있다. 에어프라이어 순살치킨의 경우 포화지방이 18.6g(124%) 들어있다. 이는 모두 1일 기준치를 초과는 양이다.
가식부 300g은 뼈있는 치킨 7조각, 순살치킨 10조각 정도에 해당한다.

이번 소비자원 조사에 따르면 냉동 치킨의 원산지도 제품마다 상이했다. 고메 소바바치킨 소이허니 봉과 골든치킨 봉만 국산 닭고기를 사용하고 나머지 제품은 모두 태국산과 브라질산, 덴마크산 등 외국산을 사용한다.
소비자원은 “손쉽게 조리 가능한 냉동 치킨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며 “제품에 따라 포화지방, 나트륨 등을 과다하게 섭취할 수 있어 섭취량 조절이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이서현 인턴기자 onlinenews1@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