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의 한 산후조리원을 이용한 미국 뉴욕타임스(NYT) 기자가 조리원 서비스는 세계 최고 수준이지만 한국의 출산율이 세계 최저인 이유를 설명하는 데에도 도움이 된다고 전했다.
28일(현지시간) NYT는 최근 한국에서 출산한 뒤 강남의 고급 산후조리원에 입소했던 로레타 찰튼 서울지국 에디터의 경험담을 소개했다.
찰튼 에디터는 산후조리원의 서비스를 자세히 소개했다. 신선한 식사가 하루 3번 제공되는 건 기본이고, 얼굴과 전신 마사지 서비스는 물론 신생아 양육을 위한 수업도 진행된다. 한밤중에는 수유를 한 뒤 신생아를 간호사에게 맡기고 독실로 돌아가 잠을 잘 수 있다.
찰튼 에디터는 “잠은 산후조리원에서 산모들이 누릴 수 있는 최고의 호사 중 하나”라고 평가했다. 산후조리원에서는 간호사들이 신생아를 24시간 돌보기 때문에 산모들이 휴식을 취할 수 있다는 얘기다. 산후조리원에 대한 수요가 워낙 높아 임신 사실이 확인되는 순간 예약하지 않으면 입소가 힘들 정도라고 한다.

다만 찰튼 에디터는 산후조리원 입소 비용이 기간에 따라 최소 수백만원에서 수천만원에 달한다는 데 주목했다. 그는 자신이 입소했던 강남의 고급 산후조리원의 경우 얼굴과 전신 마사지 등의 서비스 비용을 제외하고도 2주간 입소 비용이 800만원에 달한다고 소개했다. 건강보험도 적용되지 않는다. 정부의 산후조리 경비 지원을 신청할 수 있지만 일부에 불과하다.
문제는 산후조리원 입소에 드는 큰돈은 한국에서 아이를 키우는 전체 비용에선 극히 일부일 뿐이라는 것이다. 이에 찰튼 에디터는 “한국의 출산율을 설명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아이를 키우는 데 드는 높은 비용 때문에 한국인들이 출산을 꺼린다는 것이다.
NYT는 “산후조리원이 훌륭하다고 하더라도 단 2주에 불과하고 이후의 삶은 또 다른 이야기이기 때문에 사람들이 출산을 꺼리는 것”이라는 한국 여성의 발언을 소개하기도 했다. 다만 매체는 “한국식 산후조리 서비스를 미국에서도 누리면 좋겠다”는 한국계 미국인의 희망사항을 전하기도 했다.
권남영 기자 kwonny@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81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