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동훈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대통령실의 비대위원장 사퇴 요구를 거부하면서 윤석열 대통령과의 갈등이 ‘확전이냐, 봉합이냐’ 기로에 놓였다.
한 위원장은 22일 국회에서 대통령실의 과도한 당무 개입 여부에 대한 질문을 받고 “제가 사퇴 요구를 거절했기 때문에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 말하기 어렵다”고 밝혔다.
대통령실은 한 위원장이 ‘사퇴 요구 거절’ 사실을 공개적으로 밝힌 것이 상황을 악화시킨다는 판단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윤 대통령은 검찰에서 오랫동안 같이 지내고, 자신이 법무부 장관으로 발탁했던 한 위원장에 대해 인간적 배신감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다만 대통령실은 당정 갈등이라는 사태의 심각성을 감안해 침묵을 유지했다.
여권 핵심 관계자는 윤 대통령과 한 위원장 간의 갈등에 대해 “상대방을 너무 잘 아는 두 사람이 충돌했다”고 말했다.
여권에서는 일부 의원 등의 중재 노력이 어떤 결과를 낳을지 여부에 관심이 집중된다.
중재·타협파 인사들은 “이렇게 가다가는 총선은 참패”라는 위기감을 앞세워 대통령실과 한 위원장 측을 각각 설득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 재선 의원은 “윤 대통령과 한 위원장은 ‘직통’할 수 있는 사이”라며 “서로 한발씩 양보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한 위원장이 김건희 여사 명품가방 수수 의혹과 관련해 사과 요구 입장을 고수하고, 대통령실과 친윤(친윤석열)계 의원들이 한 위원장 사퇴를 추진할 경우 파국을 맞을 수 있다는 전망도 있다.
봉합 기류도 나왔다. 김경율 비대위원은 이날 비대위 회의에서 “제 거친 언행이 여러모로 불편함을 드린 적이 있었다”며 사과했다.
그러나 여진은 계속됐다. 정영환 공천관리위원장은 여의도 당사에서 기자들과 만나 한 위원장이 김 비대위원의 서울 마포을 출마를 공개 지지한 것과 관련해 “약간 절차적으로 오버한 면이 있을 수도 있다”고 말했다. 정 위원장은 이어 “공관위 업무까지 이렇게 (침해)되는 것으로 오해하면 ‘사천(私薦)’이란 이야기가 나온다”고 지적했다.
반면 한 위원장을 보좌하는 장동혁 사무총장은 KBS라디오 인터뷰에서 “당과 대통령실의 논의 내용이 정제 과정 없이 언론을 통해 보도되고 이를 의원 단톡방에 올려 그것이 당 전체 의사인 것처럼 여론을 형성해나가고, 결국은 당의 결정이 되는 방식은 바람직하지 못하고 건강한 방법도 아니다”고 말했다.
친윤계 이용 의원이 국민의힘 의원 단체대화방에 ‘윤 대통령이 한 위원장에 대한 지지를 철회했다’는 취지의 기사 링크를 공유한 것을 겨냥한 것이다.
찬반도 엇갈렸다. 태영호 의원은 페이스북을 통해 “민주당이 가장 껄끄러워하는 한 위원장을 우리 손으로 쳐낸다면 가장 기쁜 건 민주당”이라고 주장했다.
반면 5선의 김영선 의원은 “한 위원장은 개인 이탈에 대한 책임을 져야 한다”고 비판했다.
국민의힘 경북도당위원장인 송언석 의원은 당초 이날 경북 지역 의원들과 긴급회의를 추진했다가 취소했다.
이종선 기자 remember@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