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해 소비자물가지수의 전년 대비 상승률이 3.6%로 나타났다. 지난해 5.1%보다 둔화했지만, 한국은행 목표치인 2%를 여전히 큰 폭으로 웃돌았다.
통계청이 29일 발표한 ‘2023년 12월 및 연간 소비자물가 동향’을 보면, 이달 물가상승률은 3.2%로 전월(3.3%)과 비슷했다. 올해 전체를 집계한 소비자물가지수는 111.59(2020년=100)로 지난해보다 3.6% 올랐다.
올해 소비자물가지수의 전년 대비 상승률은 지난해 5.1%보다 1.9% 포인트 줄었지만, 코로나19 대유행으로 인플레이션 국면에 들어간 2021년의 2.5%보다 1.1% 포인트 높다.
코로나19 대유행 전 소비자물가지수의 전년 대비 상승률은 2016~2018년 1%대였고, 2019년 0.4%로 집계됐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방식으로 식료품‧에너지를 항목에서 제외한 올해 근원물가 지수는 전년 대비 상승률은 3.4%다.
올해 물가를 끌어올린 주요 원인은 전기·가스·수도 가격의 20% 급등이다. 이 항목을 집계한 2010년 이후 13년 만에 가장 큰 폭의 상승률을 나타냈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과 공급망 붕괴로 지난해 한때 20%대까지 치솟았던 석유류 가격의 올해 상승률이 11.1%로 둔화한 점은 그나마 인플레이션을 억제한 원인으로 꼽힌다.
올해 농산물은 6.0%, 수산물은 5.4%씩 올랐다. 농산물의 경우 여름 폭염, 가을 이상저온의 영향을 받아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특히 사과(24.2%), 귤(19.1%), 파(18.1%), 딸기(11.1%) 가격이 크게 상승했다.
김철오 기자 kcopd@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2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