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4년 미국 대선 출마를 선언한 제3지대 후보들이 조 바이든 대통령 지지표를 더 많이 잠식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바이든 대통령은 최근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과의 가상 양자 대결에서 열세를 보이는 상황이어서 지지층 단속에 비상이 걸렸다.
블룸버그는 17일(현지시간) “제3 후보들이 바이든 대통령의 지지층, 특히 젊은 유권자 재결집에 중대한 장애물로 떠오르고 있다”며 “최근 7개 경합주 유권자들을 대상으로 한 여론조사에서 청년층과 노조원 가구, 도시 거주자 등 주요 민주당 지지자들 사이에서 제3 후보 영향력이 강력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보도했다.
지난 대선에서 바이든 대통령을 지지한 유권자들은 바이든 대통령에 실망감을 표출하며 대안으로 제3 후보에 관심을 두고 있지만, 트럼프 전 대통령 지지자들은 지난 대선 이후에도 대체로 충성도를 유지하고 있다는 게 블룸버그 분석이다.
블룸버그가 모닝컨설트와 공동 진행한 조사에서 바이든 대통령을 지지했던 유권자 41%는 제3 후보 선택을 고려할 가능성이 있다고 답했다. 반면 트럼프 전 대통령을 선택했던 유권자는 35%만 제3 후보를 고려하고 있다고 응답했다. 제3 후보가 양측 지지층을 나눠 갖는 건 맞지만 잠식 정도는 바이든 대통령이 더 크다는 의미다.
연령별로도 지난 대선에서 바이든 대통령을 지지했던 35세 미만 유권자 51%, 35~44세 유권자 47%가 대안 후보를 고려할 가능성이 크다고 답했다.
현재 로버트 케네디 주니어, 코넬 웨스트 후보가 무소속 출마를 선언했고, 제3 당인 녹색당에서 질 스타인 후보가 출마를 강행하기로 했다.
공화당 측 정치 전략가 사라 롱웰은 “내년 대선은 박빙 승부여서 조그만 차이가 엄청난 피해를 줄 수 있다”며 “(제3지대 정당인) 노레이블 측 후보가 추가되면 이런 분위기는 더 심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버락 오바마 전 대통령도 내년 대선에서 대안 후보들이 민주당에 매우 위험하고, 그로 인해 패배할 가능성이 크다고 우려하고 있다”고 측근을 인용해 보도하기도 했다.
다만 민주당 측 여론조사 전문가 셀린다 레이크는 “제3 후보가 트럼프 승리에 결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면서도 “바이든과 트럼프 대결이라는 게 분명해진다면 제3 후보를 지지한 상당수가 다시 바이든 대통령에게 돌아올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공화당 대선 경선에서 니키 헤일리 전 유엔대사가 트럼프 전 대통령과의 격차를 줄이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CBS 뉴스가 유거브와 공동 진행한 조사에서 헤일리 전 대사는 경합 지역인 뉴햄프셔주에서 29% 지지를 얻어 트럼프 전 대통령(44%)과의 격차를 15% 포인트 차이로 좁혔다. 다만 아이오와주에서는 트럼프 전 대통령이 58%로 압도적 지지율을 유지했고, 헤일리 전 대사는 13%로 3위에 그쳤다.
워싱턴=전웅빈 특파원 imung@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