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연구원 응급의료 수요 분산 등 경남형 응급의료시스템 제안

Է:2023-11-29 14:10
ϱ
ũ

경남 타 지역에 비해 응급실 이용자 많고 경증 환자 비율 높아
응급의료 수요 분산, 응급의료 이송·전원 정보시스템 도입 필요

권역응급의료센터 환자이송 이미지. 국민DB

경남은 타 지역에 비해 응급실 이용자 수가 많으나 경증환자 비율이 높아 응급의료 수요 분산이 필요하다는 제안이 제시됐다.

경남연구원은 ‘경남 응급의료 현황·개선과제’를 주제로 경남의 응급의료 현황 진단과 경남형 응급의료시스템 구축 방안이 담긴 브리프를 발행했다고 29일 밝혔다.

경남의 응급의료 현황분석 결과 경남의 응급의료기관은 타 지역과 비교해 그 수가 적지 않지만 중증환자를 치료할 수 있는 센터급 응급의료기관이 창원, 양산, 진주, 김해 등 일부 지역에 편중돼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기준으로 경남의 인구 10만 명당 응급의학전문의 수는 2.2명으로 전국 평균 4.5명에 크게 못 미치고, 응급실 이용자 수는 많지만 경증환자 비율은 53.1%로 매우 높으며 초기 이송·전원 미비로 응급의료 사망률이 높다.

이에 응급의료 수요 분산과 응급의료 이송·전원 정보시스템 도입, 거점별 병·의원급 당직의료기관 지정 확대, 부산 등 인근지자체와의 연계협력 강화 등 경남형 응급의료시스템 구축 방안이 제시됐다.

우선 응급실 과밀화 해결과 응급의료 수요 분산을 위해 119구급대의 이송병원 선택권 보장과 경증환자 이송 거부권 부여, 경증환자 구급상활관리센터 의료상담 후 응급실 이용 등 방안이 필요하다는 의견이다.

또 응급의료 이송·전원 정보시스템을 도입해 신속·효율적인 이송병원 선정과 이송 과정의 스마트 의료지도 활성화, 권역별 응급의료기관 당번제 도입, 농어촌지역 응급의료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당직의료기관 지정기준 완화 등 병·의원급 의료기관 지원이 필요하다.

이 외 응급의료 자원의 효율적 이용을 위해 부산이나 대구, 순천·광양 등 인근 지자체와 의료자원을 공동으로 활용하는 생활권 중심의 응급의료체계 구축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이언상 경남연구원 연구위원은 “응급의료 분야는 영리를 배제하고 공공부문이 적극 대응해야 할 문제”임을 강조하고, 중증 응급환자의 적절한 치료를 위해 대형병원 응급실을 비워두는 사회적 배려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창원=강민한 기자 kmh0105@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
Ϻ 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