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낙연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28일 “민주당은 리더십과 강성 지지자들의 영향으로 면역체계가 무너졌다”고 비판했다.
이 전 대표는 또 “당내 민주주의가 거의 질식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 전 대표는 이재명 대표의 리더십과 친명(친이재명) ‘팬덤 정치’에 직격탄을 날린 것이다.
특히 이 전 대표는 ‘신당 창당에 나설 수 있느냐’는 기자들의 질문에 “국가를 위해 내가 할 일이 무엇인가 하는 것은 항상 골똘하게 생각한다”고 답했다. 신당 창당 가능성까지 부인하지 않은 것이다. 이 전 대표가 본격적인 활동을 시사하면서 민주당 내 계파 갈등이 재연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 전 대표는 이날 이낙연계 싱크탱크인 ‘연대와 공생’이 서울 용산구 백범김구기념관에서 개최한 학술포럼에 참석해 기조연설을 했다.
이 전 대표는 “과거의 민주당은 내부의 다양성과 민주주의라는 면역체계가 작동해 여러 문제를 걸러내고 건강을 회복했다”면서 “면역체계가 무너지면, 질병을 막지 못하고 죽어간다”고 지적했다. 이 전 대표는 또 “그 결과 민주당은 도덕적 감수성이 무뎌지고, 국민의 마음에 둔해졌다”고 주장했다.
이 전 대표는 “민주당은 오래 지켜온 가치와 품격을 잃었고, 안팎을 향한 적대와 증오의 폭력적 언동이 난무한다”면서 “정책이나 비전을 내놓는 활동이 미약해졌고, 어쩌다 정책을 내놓아도 사법 문제에 가려지곤 한다”고 말했다. 이 전 대표는 ‘이재명 사법리스크’까지 거론한 것이다.
이 전 대표는 포럼 도중 기자들과 만나 ‘이 대표로 인해 민주당이 사당화되고 있다고 보느냐’는 질문에 “굉장히 안타깝게 생각한다”면서 “도덕적 감수성이 무뎌지고 당내 민주주의가 억압되는 것은 리더십과 무관하지 않다”고 답했다. ‘이재명 사당화’ 주장에 힘을 실은 것이다.
이 전 대표는 “귀국 후 꽤 오랜 기간 침묵하면서 지켜봤는데 잘되지 않고 있다”면서 “매우 답답하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 전 대표는 비명(비이재명)계 의원에 대한 ‘공천 학살’ 여부를 묻는 질문에 ”진정한 시스템 공천이 훼손되면 많은 부작용을 낳는다”면서 “그런 일이 없길 바란다”고 경고장을 날렸다.
이 전 대표는 또 민주당과 국민의힘을 싸잡아 “거대 정당에 의한 정치 양극화를 극복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전 대표는 국내 정치의 양극화를 극복할 방법으로 ‘다당제’를 제시하면서 “당장 할 일은 위성정당 포기를 전제로 준연동형 비례대표제를 유지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 전 대표는 신당 창당 여부와 관련해 “지금의 절망적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여러 갈래의 모색이 이어지고 있다”며 “그분들과 상의하지 않았지만, 문제의식과 충정에 공감한다”고 말했다.
이 발언에서 ‘그분들’은 민주당 내 비주류 모임인 ‘원칙과 상식’, 한국의희망 양향자 의원이나 ‘새로운선택’ 창당준비위원회 대표 금태섭 전 의원 등 제3지대 정치세력을 지칭한 것으로 분석됐다.
박장군 기자 general@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