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금리의 여파가 한창이던 지난해 20, 30대 중 12만3000명이 지난해 집을 판 것으로 조사됐다. 전반적으로는 지난해 96만여명이 한 채 이상 집을 사들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이 산 집값은 평균 3억1000만원이었다.
통계청이 14일 발표한 ‘행정자료를 활용한 2022년 주택소유통계’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1일 기준 주택 소유자 중 직전 1년간 한 채 이상 집을 사들인 사람은 96만2000명이었다. 이 중 1채를 산 사람은 91만7000명(95.4%)으로 가장 많았고 2채는 3만2000명(3.3%), 3채 이상은 1만2000명(1.3%)이었다. 무주택자였다가 주택 소유자가 된 개인은 68만6000명으로 집계됐다.
주택 소유자는 전년과 비교했을 때 크게 늘어나지 않았다. 조사 당시 주택 소유자는 1530만9000명으로 직전 연도(1508만9000명)보다 22만명(1.5%) 늘었다. 다주택자의 비중은 3년째 줄었다. 지난해 주택을 1건만 소유한 사람은 1303만5000명(85.1%), 2건 이상 소유한 다주택자는 227만5000명(14.9%)이었다. 다주택자 비중은 2019년 15.9%를 기록한 뒤 매년 하락세다.
주택소유자의 연령을 보면 50대가 385만2000명(25.2%)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60대(22.1%), 40대(21.7%), 70대(11.7%), 30대(10.1%) 순이었다. 20, 30대에서 주택소유자는 지난해 소폭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30세 미만 주택소유자는 27만4000명에 그쳤다. 이는 2021년(29만1000명)과 비교하면 1만7000명 감소한 수치다, 30대도 2021년 164만7000명에서 지난해 154만1000명으로 줄었다. 이는 자본이 충분하지 않은 2030대가 고금리의 여파를 견디기 어려웠던 탓으로 분석된다.
주택 소유 가구의 평균 주택 자산 가액은 3억1500만원이었다. 상위 10% 평균 주택 자산 가액은 12억1600만원이었고 하위 10%는 3000만원이었다.
최예슬 기자 smarty@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