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희대(66·사법연수원 13기) 대법원장 후보자는 9일 “한평생 법관 생활을 하면서 한 번도 좌나 우로 치우치지 않고 항상 중도의 길을 걷고자 노력했다”고 밝혔다. 보수 색채가 뚜렷한 판결을 다수 내놓은 조 후보자가 대법원장이 되면 사법부 보수화가 가속화될 수 있다는 우려에 대한 답변이다.
조 후보자는 후보 지명 이튿날인 9일 오전 안철상 대법원장 권한대행과의 면담을 위해 서울 서초구 대법원을 방문했다.
조 후보자는 면담 전 기자들과 만나 “‘무유정법(無有定法)’이라는 말이 있다. ‘정해진 법이 없는 것이 참다운 법’이라는 뜻”이라고 했다. 이어 “예전에 대법관 취임사에서도 우리 두 눈은 좌우를 가리지 않고 보는 법이라고 했었다”면서 사법부 보수화 우려에 대해 “걱정하지 않으셔도 된다”고 말했다.
대법관으로 재직했던 조 후보자는 애초 윤석열 대통령의 대법원장 후보자 지명 제안을 고사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그는 후보자 지명을 다시 수락하게 된 계기를 묻는 취재진 질문에는 “중책을 맡기에는 늘 부족한 사람이라고 생각하고 있다”고 답했다. 그러면서 “한 차례가 아니라 수천, 수만 번 고사하고 싶은 심정이었다. 사법부는 물론이고 우리나라와 국민들에게 혹시 누를 끼치지는 않을까 두렵고 떨리는 심정”이라고 했다.
조 후보자는 “어깨가 많이 무겁다. 열심히 하겠다는 생각뿐”이라고 말했다.
1957년생인 조 후보자는 2027년 6월 대법원장 정년(70세)에 도달한다. 대법원장 임기 6년을 채우지 못하고 3년6개월여만에 물러나야 되는 것이다. 조 후보자는 이에 대해서도 “기간이 문제가 아니고 단 하루를 하더라도 진심과 성의를 다해 헌법을 받들겠다”고 밝혔다.
이형민 기자 gilels@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