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년 미국에서 발행되는 25센트(쿼터) 동전 뒷면에 한국계 인물의 얼굴이 처음으로 새겨진다. 주인공은 한국계 여성 장애인 인권 운동가 ‘스테이시 박 밀번’이다.
3일(현지시간) 미국 연방조폐국은 2025년 미국 여성 쿼터 프로그램 선정자 5명을 발표했다.
해당 프로그램은 ‘성별에 따른 차별을 금지한 수정헌법 제 19조’ 발효 100주년을 기념해 2020년부터 실시한 프로젝트다. 매년 조폐국은 미국 근현대사에서 남다른 업적을 이뤄낸 여성을 선정한 뒤 새로 발행하는 쿼터 뒷면에 얼굴을 새긴다.
올해로 4번째이자 마지막을 맞는 이 프로젝트에서 조폐국은 여성 20명 중 최종적으로 5명을 선정했다. 밀번은 이 5명 안에 포함돼 쟁쟁한 인물들과 어깨를 나란히 하게 됐다.

1987년생인 밀번은 주한미군 아버지와 한국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났다. 그는 서울에서 태어난 뒤 미국으로 건너가 노스캐롤라이나에서 성장했다.
밀번은 태어날 때부터 근육 퇴행성 질환인 ‘선천선 근이영양증’을 앓는 중증 지체장애인이었다. 이러한 성장 과정과 “너는 다른 아이와 다르지 않다”는 부모의 응원은 밀번이 장애인 인권 운동에 앞장서는 계기가 됐다.
조폐국은 밀번을 “비전을 가진 리더이자 장애인을 위한 강력한 활동가”라고 소개하면서 “다양한 활동을 통해 장애인들이 기관에 의존하지 않고 주체적인 삶을 누리는데 직접적인 공헌을 했다”고 설명했다.
밀번은 학교가 장애인 역사 교육 과정을 가르칠 것을 요구하는 노스캐롤라이나 법안을 작성하고 통과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름을 알렸다.
그는 또 소외된 지역 사회를 위한 봉사 단체 ‘장애 정의 프레임워크’를 세웠으며, 2014년에는 오바마 정부의 직속 기관 지적장애인위원회에서 장애인 정책 자문 위원을 맡기도 했다.
지난 코로나19 유행 기간엔 마스크와 방역키트 및 긴급 의약품을 장애인과 저소득층에게 전달하는데 앞장섰다. 당시 이미 신장암 진단을 받은 상태였지만, 투병 중에도 장애인들을 위한 활동을 멈추지 않았다.
결국 밀번은 자신의 생일날인 2020년 5월 19일, 33세로 세상을 떠났다.

밀번의 얼굴은 조지 워싱턴이 새겨진 25센트 동전 뒷면에 새겨질 예정이다. 조폐국이 공개한 도면에선 그녀가 휠체어에 앉아 밝은 표정으로 웃고 있거나, 사람들 앞에서 당차게 이야기하는 모습을 담았다.
밀번 이외에도 2025년 발행될 25센트 동전에 얼굴이 새겨질 여성으로는 흑인 언론인 아이다 웰스, 걸스카우트 창립자 줄리엣 고든, 천문학자 베라 루빈, 흑인 테니스 선수 앨시어 깁슨이 선정됐다.
최승훈 인턴기자 onlinenews1@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