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묘역서 무릎 꿇은 인요한…눈감고 묵념 [포착]

Է:2023-10-30 15:50
ϱ
ũ
인요한 국민의힘 혁신위원장이 30일 광주 북구 국립 5·18 민주묘지 행방불명자 묘역에서 한쪽 무릎을 꿇고 묵념하고 있다. 연합뉴스

인요한 국민의힘 혁신위원장이 30일 취임 후 첫 공식 외부 일정으로 광주를 찾아 무릎을 꿇고 5·18 민주화운동 희생자 묘역을 참배했다.

인 위원장은 이날 오전 광주 북구 국립 5·18 민주묘지를 찾아 추모탑을 참배하고 행방불명자 묘역에 헌화했다.

이어 5초가량 한쪽 무릎을 꿇은 채 눈을 감고 묵념했다.

2020년 8월 국민의힘 전신인 미래통합당 김종인 비상대책위원장이 이곳을 찾아 ‘무릎 사과’한 것을 연상시키는 장면이다.

인 위원장은 방명록에 ‘광주가 대한민국의 민주주의를 완성해 가고 있읍니다’라고 적었다.

휴대전화를 꺼내 준비된 문구를 옮겨적는 과정에서 잘 못 적어 다시 작성하기도 했다.

인요한 국민의힘 혁신위원장이 30일 광주 북구 국립 5·18 민주묘지 중 하나에 손을 대며 추모하고 있다. 연합뉴스

참배를 마친 인 위원장은 기자들과 만나 “글씨도 잘 못 쓰고, 묘지 앞에서 말문이 막혔다”며 “도저히 표현하고 싶은데 표현이 나오지 않아 죄송하다”고 말했다.

이어 “광주 민주화운동은 민주주의를 발전시키는 데 큰 업적이었고, 우리 기억 속에 남아있다”며 “유대인들이 한 말을 빌리자면, ‘용서는 하되 잊지 말자’”고 했다.

그러면서 “앞으로 자식들한테 광주의 의미를 잘 가르쳐서, 또 광주의 피해자 가족이나 돌아가신 분의 후손들을 적극 챙겨서, 지금까지는 지방에서 잘해왔지만, 이제는 중앙에서 다 포용하고 어디에든 가서 자랑스럽게 자신의 조상이나 어머니·아버지를 자랑스럽게 이야기할 수 있는 나라가 돼야 한다”고 했다.

인요한 국민의힘 혁신위원장이 30일 광주 방문 이후 국립서울현충원을 찾아 참배하고 있다. 연합뉴스

5·18 민주화운동 당시 시민군 편에서 외신 기자들을 위해 통역을 한 것으로 알려진 인 위원장은 “시민군 대표 말씀이 오늘날까지 귀에 쨍쨍 울린다”고 회고했다.

그는 “두 가지 또렷한 기억이 남아있다”며 ‘북쪽을 향해서 우리를 지켜주는 총이 왜 남쪽으로 향하는지 모르겠다. 너무 원통하다’ ‘우리를 공산주의자라고 하는데 우리는 매일 애국가를 부르고 반공 구호를 외치고 하루 일정을 시작한다’ 등 당시 시민군 대표 발언을 전하기도 했다.

인 위원장을 비롯해 국민의힘 혁신위원 13명 전원이 광주행에 함께했다.

5·18 3단체(유족회·부상자회·공로자회)측은 인 위원장을 만나 5·18민주화운동의 헌법 전문 수록, 국가유공자법 개정 등을 요청하는 건의문을 전달했다.

황일봉 부상자회장은 “윤석열 대통령이 후보 시절 헌법 전문 수록을 약속했다”며 “헌법 수록과 5·18 유공자들을 국가유공자로 승격해달라”고 말했다.

이에 인 위원장은 “꼭 전달하고 관철되게 최선을 다하겠다”고 답했다.

인요한 국민의힘 혁신위원장이 30일 광주 방문 이후 국립서울현충원을 찾아 참배를 마친 뒤 방명록을 작성하고 있다. 연합뉴스

인 위원장은 이후 서울로 돌아와 오후 국립서울현충원을 방문했다.

그는 현충탑 앞에서 헌화·분향 후 기자들에게 “국가를 위해 희생한 사람들을 기억하고, 또 우리도 여기에 들르면서 희생할 각오를 가지고 통합, 통합을 위해서 한 힘이 될 수 있도록 뚜벅뚜벅 걸어 나가려 한다”고 밝혔다.

방명록에는 ‘희생을 잊지 않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국가를 더욱 발전시키겠습니다’라고 썼다.

현충원에도 혁신위원들 전원이 동행했다. 혁신위는 현충원에 안장된 전직 대통령 묘역을 참배하지는 않았다.

오주환 기자 johnny@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
Ϻ 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