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행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가 “더불어민주당이 저를 공동 창업자 주식 인수과정에서 퇴직금을 회삿돈으로 줬다는 식의 배임행위로 고발했다”며 “당당히 수사에 응하겠다”고 10일 밝혔다. 김 후보자는 또 “본인은 행방불명된 적이 결코 없다”며 청문회장 파행 전후 국회 CCTV 내역을 공개해 줄 것도 요청했다.
김 후보자는 이날 기자들에게 보낸 문자메시지를 통해 “이제야 진실이 밝혀질 수 있게 됐다. 고발을 환영한다”며 이 같이 말했다.

민주당은 김 후보자를 특정경제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배임 혐의로 서울경찰청에 고발했다. 김 후보자가 소셜뉴스와 소셜홀딩스를 경영권을 인수하면서 회사돈을 이용했다는 것이다.
한민수 민주당 대변인은 “(김 후보자가) 경영권 및 지분 양도 대가를 회사돈을 이용해 공동창업자 퇴직금과 고문료 명목 등으로 지급하였음이 민사 판결문을 통해 밝혀졌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김 후보자는 “공동창업자는 2009년부터 2019년까지 11년간 근무한 데 대한 정당한 퇴직금을 지급받았다. 회사에 근무하면 퇴직금을 주는 것이 너무나 당연한 상식 아니냐”고 따졌다.
김 후보자는 그러면서 “퇴직금 지급은 대표이사. 임직원 모두 당연히 받아야 하는 노동의 대가 아니냐. 결코 경영권 프리미엄을 얻기 위해 회사자금을 대신 지불한 적이 없다”고 강조했다.
김 후보자는 이날 별도 입장문에서도 퇴직금 지급 등과 관련된 자료를 공개하겠다고 약속했다. 김 후보자는 “여야 합의로 회계법인 등을 선정해주면 현 회사대표와 함께 검증받겠다”고 공언했다.
이른바 ‘주식 파킹 논란’에 대해서도 입장을 밝혔다.
김 후보자는 “백지신탁 매각 결정 전후 현재까지 주식이동 과정도 권위 있는 검증기관을 선정하시면 검증받겠다”면서 “회사가 지금까지의 모든 우여곡절 과정을 낱낱이 검증기관에 설명하겠다”고 말했다.
김 후보자가 2013년 청와대 대변인 임명 당시 위키트리 운영사 소셜뉴스 지분을 백지신탁화하는 과정에서 시누이에게 판매한 것으로 나타나면서 주식 파킹 논란이 제기됐다. 김 후보자가 시누이에게 임시로 주식을 맡겨 놓았다가 나중에 되사서 백지신탁제도를 무력화했다는 것이다.
김 후보자는 지난 5일 밤 인사청문회 도중 자리를 떠난 뒤 행방불명됐다는 민주당 측 주장을 적극 반박하며 청문회 당일 국회 CCTV 공개를 요구했다.
김 후보자는 “청문회 파행 전후, 국회 CCTV를 모두 공개해달라. 제 행적을 전부 밝히겠다”고 말했다.
김 후보자는 청문회 당일 밤 민주당 소속 권인숙 인사청문위원장 “(후보자) 사퇴하라”는 발언 후 본관 여가위(550호)에서 1분 거리인 대기실(559호)에서 대기하고 있었다고 주장했다. 김 후보자는 “당일 CCTV를 보면 단박에 확인된다”고 거듭 강조했다.
손재호 기자 sayho@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