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벨화학상에 ‘양자점 연구’ 3인…유출명단과 동일

Է:2023-10-04 20:07
ϱ
ũ

초고화질 디스플레이에 적용되는 나노 기술 발견·개발
노벨위원회, 수상자 사전 유출에 침묵 고수…뒤늦게 “유감”

4일(현지시간) 스웨덴 스톡홀름 왕립과학원 화면에 노벨 화학자 수상자 3명의 사진이 떠 있다. 왼쪽부터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프랑스계 미국인 뭉기 바웬디, 미국 컬럼비아대의 미국인 루이스 브러스, 미국 나노크리스탈 테크놀러지에 근무 중인 러시아 출신 알렉세이 에키모프. AFP 연합뉴스

스웨덴 왕립과학원 노벨위원회는 올해 노벨화학상 수상자로 양자점(퀀텀 도트)을 발견하고 연구를 발전시킨 문지 바웬디, 루이스 브루스, 알렉세이 예키모프 등 3명을 선정했다고 4일(현지시간) 밝혔다. 각각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미국 컬럼비아대, 미국 나노크리스털 테크놀로지사에 몸담고 있다.

해당 명단은 발표 약 4시간 전 스웨덴 언론을 통해 보도된 것과 같았다.

노벨 화학위원회는 이날 “수상자들은 양자(퀀텀) 현상에 따라 특성이 결정될 만큼 작은 입자를 만들어 내는 데 성공했다”며 “양자점이라고 불리는 이 입자는 현재 나노기술 분야에서 중요성이 매우 크다”고 발표했다.

이어 “양자점은 향후 휠 수 있는 전자기기, 초소형 센서, 초박형 태양전지, 양자 암호통신에 사용될 수 있다는 게 학계의 전망”이라고 설명했다.

양자점은 크기가 수∼수십㎚(나노미터·10억분의 1m)인 반도체 결정이다. 양자점의 크기를 나노기술로 조절하면 가전자대와 전도대 사이의 밴드갭이 달라지고 이 사이를 오가는 전자의 움직임도 제어할 수 있다. 즉 빛을 흡수해 여기된(들뜬) 전자가 빛으로 방출하는 에너지 파장을 원하는 대로 통제할 수 있다는 뜻이다.

양자점의 크기에 따라 달라지는 전기적·광학적 특성은 원색을 거의 그대로 구현하는 초고화질 디스플레이에 적용되고 있다.

한스 엘레그렌 스웨덴 왕립과학원 노벨위원회 사무총장(가운데)이 3일(현지시간) 스톡홀름에서 2023 노벨화학상 수상자를 발표하고 있다. AP 연합뉴스

한편 노벨위원회는 화학상 발표를 몇시간 앞두고 수상자 명단이 사전 유출된 데 “심히 유감”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AFP, AP 통신에 따르면 스웨덴 왕립과학원 노벨위원회는 이날 낮부터 화학상 수상자가 사전 유출돼 대대적으로 보도가 쏟아져 나오는 와중에도 4시간 가량 침묵을 고수했다.

그러다 예정된 발표 시간인 오후 6시45분 기자회견을 하는 자리에서 왕립과학원 사무총장인 한스 엘레그렌은 “여전히 알수 없는 이유로 보도자료가 배포됐다”면서 “정확하게 어떤 일이 벌어졌는지 파악하려고 오늘 아침부터 매우 분주했다”고 말했다.

그는 그러면서 “이것은 너무나 유감스럽다”며 “우리는 이번 일에 유감을 표명한다”고 덧붙였다.

공식발표 직전까지 기밀이 철저히 유지되는 노벨상 수상자 명단이 사전에 유출된 것은 매우 이례적이어서 이들 수상자의 연구 성과와는 별도로 상 자체의 권위엔 큰 타격을 입게 됐다.

김성훈 기자 hunhun@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
Ϻ 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