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철도노사와 국토교통부가 고속철도 운영에 대해 논의하기로 합의하면서 전국철도노조가 제2차 파업을 중단하기로 했다.
철도노조는 19일 보도자료를 내고 “고속철도 운영과 관련해 정부에 의견을 전달했다. 준비했던 제2차 파업 일정을 중단한다”고 밝혔다.
이날 국토부와 대화를 시작한 철도 노사는 다음달 고속철도 운영 관련 사항을 구체적으로 논의한다는 계획이다.
앞서 철도노조는 ‘수서역 KTX’ 운행이 제1차 파업의 주요 원인 중 하나라고 밝혔다. 국토부가 지난 1일 수서~부산 노선을 11.2% 감축해 하루 최대 4920개의 좌석이 줄면서 시민들이 불편을 겪게 됐다는 것이다.
이들은 수서~부산 노선을 축소하며 늘린 서울~부산 KTX의 시작과 종착역을 수서역으로 변경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철도노조는 “수서행 KTX는 시민 10명 중 7명이 동의할 정도로 절대다수의 지지를 받았다”며 “철도노조는 시민불편을 해결하는 게 우선이라고 판단했다. 정부정책이라 해도 시민들의 요구에 따라 보완하고 수정하는 게 맞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자리가 마련된 만큼 예정됐던 철도노조의 2차 파업은 중단한다”며 “불편을 해소하라는 시민들의 요구를 받들지는 못했지만 최선을 다 해 해법을 찾겠다”고 했다.
철도노조는 지난 14일 오전 9시부터 18일 오전 9시까지 제1차 총파업을 벌였다.
파업의 영향으로 14~18일 전국의 열차 운행률은 평시대비 70%대까지 감소했다. KTX는 평시대비 약 68% 운행됐고 여객열차는 59%, 수도권전철은 76% 수준으로 운행됐다.
화물열차는 22~60% 수준으로 운행되면서 물류 수송량은 평시대비 절반수준까지 떨어졌다. 코레일은 총파업으로 인한 피해액이 75억원에 달할 것으로 추산했다.
대전=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